생존 향한 인간의 원천적 사고
직관·상상·감정·상식으로 분류
논리만으로는 살 수 없는 시대
내면의 경로를 재조정하는 힘
불확실성 속 가능성 그리기도
고유지능/ 앵거스 플레처/ 김효정 옮김/ 인플루엔셜/ 2만1000원
현대인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진 시대에 살고 있다. 인공지능(AI)으로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면 손쉽게 언제나 원하는 정답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이가 이러한 타자에 의한 정답이 넘쳐날수록 추구해야 할 방향은 흐려지고, 분석이 정교할수록 결단은 더 어려워진다고 호소한다. AI 만능시대라 논리와 데이터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처럼 보이지만, 현실의 문제는 갈수록 복잡하고 모호해지고 있다.
미국의 인지과학자인 저자는 ‘고유지능(Primal Intelligence)’에서 이 모순의 이유를 “논리에 갇힌 인간의 두뇌”에서 찾는다. 그가 이러한 인간의 문제를 포착한 곳은 미 육군 특수부대였다. 신병들은 높은 IQ와 뛰어난 분석력을 갖추었지만, 변수가 많은 실제 상황 앞에서 판단을 주저하고 쉽게 흔들렸다. 한 지휘관은 “그들은 수학 문제는 잘 푸는데, 인생 문제는 풀 줄 모른다”고 전한다. 지식 중심 교육이 강화될수록, 불확실성과 혼란을 이겨낼 수 없다는 사실을 이들을 통해 확인했다.
저자는 이 특수부대와 공동 연구로 AI와 다른 방식으로 사고하고 결정하는 인간의 태생적 능력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는데, 그것이 바로 ‘고유지능’이다. 고유지능은 원시시대부터 인간이 생존을 위해 길러온 원천적 사고 능력이다. 문제는 현대 교육과 조직 문화가 이 능력을 약화하고 있다는 것. 따라서 인간의 고유한 의사결정 능력인 ‘고유지능’을 제대로 살리는 것이 필수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AI의 데이터와 논리로 설명되지 않는 이 고유지능의 4가지 핵심으로 ‘직관’, ‘상상력’, ‘감정’, ‘상식’을 꼽는다.
그 첫 번째가 직관이다. 저자는 이를 “예외를 포착하는 눈”이라고 말한다. 직관은 기존의 규칙 사이에서 ‘예외적 정보’를 감지하는 능력이다. 대표적인 사례의 인물이 화가 빈센트 반 고흐다. 그는 미술 교육의 정석이었던 색채 이론을 기존 방식대로 따르지 않았다. 고흐는 사람, 사물, 공간에서 정리된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미묘한 대비와 감정의 진동을 포착했다. ‘별이 빛나는 밤’을 그릴 때 고흐는 색채론에서 금기시된 노랑과 파랑을 과감하게 충돌시켰다. 규칙대로라면 부조화가 발생해야 했다. 그러나 고흐는 하늘이 가진 불안정한 아름다움, 삶이 가진 흔들리는 에너지를 색의 ‘예외’를 통해 감각적으로 표현했다. 그 결과 탄생한 작품은 인간 내면의 격렬한 감정을 완벽히 시각화하며, 기존 미술이 도달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열어젖혔다. 이같이 직관은 잡음 속에서 새로운 질서를 읽어내는 힘이자 데이터가 불완전한 상황에서도 미래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라는 게 저자의 설명이다.
두 번째는 상상력이다. AI는 과거 데이터를 확장하지만, 인간의 상상력은 존재하지 않는 미래를 설계한다. 베토벤이 청력을 잃은 뒤에도 머릿속에서 교향곡을 완성하고, 스티브 잡스가 현실의 한계를 무시하고 “새로운 세계”를 그려냈던 것도 같은 원리다. 이 상상력은 ‘불확실성 속에서 가능성을 그려내는 실행의 뇌 회로’다.
세 번째는 감정으로 이는 “방향을 잃지 않는 나침반”이라 말한다. 감정은 인간의 판단을 흐리는 요소가 아니라 ‘내면의 경로를 재조정하는 신호’라는 것이다. 두려움은 “계획이 없다”는 경고이며, 분노는 “계획이 하나뿐”이라는 위험신호라는 것이다. 슬픔, 수치심, 감사 같은 감정은 뇌가 성장의 방향을 다시 잡도록 돕는다.
네 번째는 상식이다. “불확실한 현실에서 결단을 내리는 지혜”를 말한다. 상식은 ‘논리의 산물’이 아니라 ‘경험의 축적’에서 나오는 즉각적 판단이다. 벤저민 프랭클린, 워런 버핏, 조지 워싱턴처럼 위기에서 현명한 결정을 내린 사람들은 ‘순간의 통찰’을 따랐다. 이 상식의 근육이 AI가 결코 구현할 수 없는 인간의 진화적 능력이다.
그에 따르면 ‘직관→상상력→감정→상식’ 순으로 네 가지는 순환한다. 직관이 ‘이상한 신호’를 포착하면 상상력이 미래를 설계하고, 감정이 방향을 조정하며, 상식이 실행을 이끈다.
실제로 이 ‘고유지능’을 복원하는 순환 훈련을 통해 혼란을 겪었던 특수부대원들은 시간 압박·혼란·위기 상황에서 더 민첩하고 효과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을 보였다는 것. 이 연구는 이후 외과의사, 전투기 조종사, 미 항공우주국 우주비행사에 이르기까지 혁신, 회복탄력성, 의사결정, 소통, 리더십 전반에서 성과를 입증했다. AI가 결코 구현할 수 없는 인간의 태생적 의사결정 능력인 고유지능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통해 불확실한 현대를 살아가는 지혜를 전하는 흥미로운 책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부끄러운 K음주운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128/20251109510257.jpg
)
![[특파원리포트] 제 살을 깎는 개혁](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128/20251109510239.jpg
)
![[김정기의호모커뮤니쿠스] 좋은 ‘깐부’, 나쁜 ‘깐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128/20251109510233.jpg
)
![[김정식칼럼] 보유세 인상의 허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128/20251109510209.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