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가 관광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기온이 오르면 무더운 여름 대신 비교적 활동하기 좋은 계절에 휴가나 여행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관광공사는 최근 7년간 기후변화가 국내 관광 수요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공사는 기상청 기후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반 관광데이터를 결합해 2018∼2021년과 2022∼2024년을 비교·분석하며, 자연·휴양·역사·문화·레포츠 등 관광지 유형별로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방문객 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봤다.
그 결과 자연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다.
2022~2024년 6월 기준 기온 1도 상승을 가정할 때 방문객 9.6%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돼 초여름 무더위가 방문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조건의 휴양 관광지는 10월 기준 13.5%가 증가하여 상위권에 오르며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았다.
반면 문화·기타 관광지는 기온 변화에 상대적으로 둔감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관광 성수기 시기에 변화가 드러났다.
과거 대표적인 봄 성수기였던 5월 대신 최근에는 3~4월이 성수기로 부상했다.
전국 벚꽃 개화 시기에 더해 성수기인 5월보다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여름은 자연·휴양 관광 수요의 중심이 7월에서 8월로 옮겨가며 더위 집중 현상이 두드러졌다.
가을은 기온 상승의 긍정적 효과가 지속되는 유일한 계절로 10~11월에는 모든 관광지 유형에서 안정적인 성수기가 이어졌다.
반면 겨울은 스키장 개장 시기가 늦어지고 적설량이 줄어들면서 관광객이 감소해 ‘겨울 성수기’가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이지은 한국관광공사 관광컨설팅팀장은 “2018년 이후 국내 평균기온이 1.7도 상승하면서 관광 성수기의 계절 지도가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기후변화는 단순한 환경 이슈를 넘어 관광산업의 구조와 전략을 바꾸는 핵심 변수”라고 말했다.
한편 61년 동안 이어져 온 ‘근로자의 날’이 내년부터 ‘노동절’로 바뀐다.
내년 근로자의 날인 5월 1일은 금요일이다.
만약 정부가 ‘노동절’을 공식 공휴일로 지정하면 5월 4일(월요일)에 연차나 휴가를 쓸 경우 최장 5일간의 황금연휴를 누릴 수 있다.
현재 ‘노동절’의 공휴일 지정 법안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 계류 중이며, 연내 처리가 기대된다.
이날을 공휴일로 지정하게 되면 근로자에게 휴식할 권리를 부여해 삶의 질을 향상하고 기업은 생산성 상승으로 이어지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일각에서는 늘어난 공휴일에 불만을 드러내지만 휴식이 곧 성과로 이어지는 시대다. 과거 장시간 근로가 미덕으로 여겨졌던 시대는 지나도 한참 전에 지난 것이다.
경제 전문가는 “단기적으로는 생산성 저하 우려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휴식권 보장과 삶의 질 향상을 통해 오히려 생산성이 오를 수 있다”며 “일과 삶의 균형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