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초 1차, 10월 하순 2차 수확
농가 소득 증대… 미래 재배법 주목
충남도가 국내 최초로 1년에 한 번의 모내기로 두 번 수확하는 ‘움벼(라툰) 재배 대규모 실증’에 성공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3일 “움벼 재배는 첫 수확 후 벼의 그루터기에서 새순을 키워 다시 수확하는 저투입형 벼 재배법”이라며 “논을 갈아엎지 않고 물과 소량의 비료만으로 재배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방식은 통상 동남아시아나 미국 남부 등 고온 지역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충남도가 이번에 생육 기간이 짧고 재생력이 뛰어난 초조생종 ‘빠르미’를 활용해 국내에서도 가능성을 입증했다.
충남농기원에 따르면 실증은 홍성 서부면 3만㎡, 당진 송악면 4만5000㎡ 규모 논에서 진행됐다. 5월 상순에 모내기를 실시해 8월 초 첫 수확을 마치고 이후 밑동에서 재생된 벼를 10월 하순에 두 번째로 수확했다. 1차 수확에서 10a당 450㎏을 거둔 데 이어, 2차 움벼 수확은 약 20% 수준인 10a당 90㎏이 추가로 생산됐다. 1·2차를 합친 총 수확량은 10a당 540㎏ 안팎으로, 일반 벼(527㎏)와 비슷한 수준이다.
움벼 재배의 경제적 효과는 크다. 1차 수확한 빠르미는 8월 초 프리미엄 햅쌀로 출하돼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2차 수확분이 ‘보너스 수익’처럼 더해져 농가의 실질 소득 향상이 기대된다. 충남도는 국내 벼 재배의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했다고 자부한다. ‘한 번 모내기로 두 번 수확’이라는 혁신적 기술이 전국으로 확산될 경우 국내 쌀 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농업 실현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충남도가 국내외 조생종을 교배해 2009년 개발한 빠르미는 대한민국 쌀 농업 역사를 새로 쓴 혁신 아이콘이다. 이앙부터 수확까지 약 80일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는 일반 품종보다 약 50일 빠르다. 짧은 재배 기간 덕에 농자재·물·비료 사용량을 줄여 비용 절감과 메탄가스 감축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기작·노지 이모작·시설하우스 삼모작이 가능하다. 2021년 보급된 이후 빠르미는 충남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며, 기후위기 대응형 미래 쌀 품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빠르미를 개발한 충남농기원 윤여태 박사는 “움벼 재배는 1차 수확 후 경운·육묘·이앙 등 추가 농작업이 필요 없이 물을 채워 키우기 때문에 노동력이 거의 들지 않는다”며 “벼멸구나 도열병 등 병해충 피해도 적고, 태풍 등에도 쓰러지지 않아 기후위기에 대응한 미래 벼 재배 기술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다카이치 日총리의 급여 반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657.jpg
)
![[삶과문화] 지금 집이 없는 사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6/128/20251106518472.jpg
)
![RM이 말한 ‘K컬처의 힘’ : 다양성의 언어 [이지영의K컬처여행]](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4662.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