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명 중 1명은 응급실 수용이 불가해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응급실 뺑뺑이’를 경험해 봤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0명 중 8명가량은 의사 인력 증원을 위한 지역의사제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실은 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24일부터 3일간 전국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 같은 결과를 공개했다.
응답자들은 정부가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보건의료 분야 정책 과제(복수 응답)로 ‘응급의료체계 개편’(51.7%)을 꼽았다. 이어 ‘건강보험 재정 낭비 해결’(43.2%), ‘지역 간 필수의료 격차 해소’(36.1%)가 뒤를 이었다.
응급의료와 관련한 질문에서 ‘응급실 뺑뺑이’를 경험해 본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19.1%(‘여러 번’ 3.6%∙‘한두 번’ 15.5%)였다. ‘직접 경험은 없지만, 주변인의 경험을 들은 적이 있다’는 비율도 59.7%에 달해 총 78.8%가 직∙간접적으로 응급실 뺑뺑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간접 경험자의 비율은 부산∙울산∙경남(81.9%), 인천∙경기(80.9%), 강원∙제주(80.5%) 순으로 높았다.
응급실 뺑뺑이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응급실 중증환자 즉시 수용 의무 규정 강화’(29.5%)가 가장 많이 나왔다. ‘응급실 전담 및 중증응급질환 수술 가능 인력 확충’은 26.4%, ‘실시간 병상 환자 진료정보 시스템 구축’이 19.9%였다.
의대 신입생 중 일정 비율을 별도로 선발해 졸업 후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하게 하는 ‘지역의사제’에 대해선 응답자의 77%가 찬성한다고 밝혔다. ‘반대’는 13.2%였고, ‘모르겠다’는 응답은 9.8%였다. 지역의사제는 이재명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의 핵심 과제로 꼽힌다.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의 찬성률이 82.6%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인천·경기 지역이 79.0%, 대구·경북이 76.0%였다. 또 67.2%가 ‘공공의대 설립’에 찬성했고, 68.5%가 비급여 진료비 가격을 정부가 관리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김윤 의원은 “국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응급의료체계 개편을 통한 ‘응급실 뺑뺑이’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정부의 국정과제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