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가진 2차 한·미 정상회담에서 극적인 관세협상 타결을 이뤄낸 가운데, 한·미·일 외교장관들도 3국간 공조 의지를 다시 한번 다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현 장관은 29일 경주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 외교통상합동각료회의 계기 경주를 방문 중인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모테기 도시미쓰 신임 일본 외무상과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가졌다.
3국 외교장관은 한반도 및 지역 현안과 한·미·일의 경제협력 증진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외교장관회의는 짧은 시간 발생한 여러 변수를 뚫고 성사됐다. 당초 이날 저녁 직전에 열릴 예정이던 회의가 한·미 정상회담 일정 지연으로 갑자기 취소됐는데, 이후 한·미간 관세협상이 ‘깜짝 빅딜’로 급진전하더니, 곧장 만찬 형식의 약식 회동(Pull-aside) 형태로 추진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짧은 방한 일정 등 이번 에이펙은 유난히 빡빡한 양자회담으로 채워지면서 3국 정상회의가 열리긴 힘든 상황에서 외교장관들은 민감한 시기에 한번이라도 더 얼굴을 맞대고 대북, 대북 정책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본 내각 개편 직후 모테기 외무상이 참석한 첫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란 점에서도 3국이 협력에 대한 동력을 재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
조 장관은 올해 5번째를 맞는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해 뜻깊다고 밝히고, 역내 공급망 회복력을 강화하면서 한반도와 인태지역 내 초국가적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협력해 가자고 제안했다.
루비오 장관과 모테기 외무상은 한국 경주에서 개최되는 에이펙 정상회의 주간에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열게 되었음을 환영했다. 역내 평화와 안정, 번영을 위해 협력해 나가자는 의지도 밝혔다.
3국 장관들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하는 가운데 긴밀한 대북 공조를 유지하고,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한반도 평화·안정 유지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앞으로도 다자회의 계기 등을 활용해 수시로 소통해 나가자는 공감대도 나눴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