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 협상 앞두고 ‘對韓 장기화’에 부담
李 ‘국익중심 실용외교’ 강력천명도 한몫
김용범 “전날까지 불투명, 당일 급진전”
“어제 저녁에도 그렇게 전망을 밟지는 않았고 당일날 급진전됐다. 이런 정도로 말씀드리겠다.”
한·미 관세협상을 총괄한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관세협상 타결 후 기자회견에서, 전망이 어둡던 관세협상이 극적 타결된 배경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김 실장은 “상대방에 대한 부분이 있어서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우리가 양보했으면 그렇게 되지 않았겠죠”라고 말했다. 대미 관세협상 과정에서 미국의 요구에 쉽게 양보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한·미가 29일 관세협상을 극적 타결한 것은 협상이 더는 지연돼서는 안 된다는 양국 간 공감대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시아 순방에서 미·중, 미·일 관세협상을 포함해 성과를 도출해야 하는 상황이고, 특히 중국과의 관세협상에 매진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국과의 관세협상이 장기화하는 것이 부담이 된 것이란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30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무역협상 대치 상황을 일정 부분 타개할 것으로 알려진 만큼 한국과의 관세협상 타결을 통해 순방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의도도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관세협상 과정을 잘 아는 워싱턴 소식통은 이날 통화에서 “미국 정부는 한국과의 관세협상을 서둘러 마무리하고 중국과의 협상에 집중하고 싶어 한다”고 전했다.
한국 정부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에 앞서 일본에 방문해 5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협상을 마무리하고, 투자 기한·절차·이익 배분 방식을 미국에 유리하게 타결한 상황에서 협상이 장기화하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관세협상은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 시작 직전까지 회담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안갯속 협상’으로 진행됐다. 통상 관세협상 등이 실무 차원에서 협상안을 마련하고, 정상 간 최종 타결로 이어지는 ‘보텀업’ 방식이라면, 이날 협상은 정상 간 ‘톱다운 방식’으로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난항을 겪었다.
특히 이재명정부의 ‘국익중심 실용외교’ 기조에 따라 미국의 대미 투자 방식에 응할 경우 외환시장 충격 등 우리 경제에 불확실성이 커진다는 입장을 미국 측에 강력 전달한 것이 협상 타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최근 외신 인터뷰 등을 통해 국익 우선, 상호 호혜적인 협상을 할 것이고, 시간에 쫓겨 불리한 합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이 대통령이 안보 분야에서는 미국 정부의 ‘동맹 현대화’ 요구에 적극 호응하면서 관세협상 타결을 이끌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자주국방 강화를 강조하고 전시 작전권 전환 입장을 일관되게 밝힌 만큼 국방비 증액 등을 통해 한국의 국방 능력을 강화하고, 한·미 군사 안보 동맹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뒀다. 이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도 “한·미 관계는 동맹의 현대화,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돼야 된다”면서 “대한민국도 방위비 증액을 통해서 그리고 방위산업 발전을 통해서 자체적 방위 역량을 대폭 키울 생각”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