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8일 해상 대 지상(함대지) 전략순항미사일을 시험발사했다고 29일 밝혔다.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진행한 시험발사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미사일총국은 28일 조선 서해해상에서 해상 대 지상 전략순항미사일 시험발사를 진행하였다"고 이날 보도했다.
통신은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발사되여 서해 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800여s(2시간10분)간 비행하여 표적을 소멸하였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날 공개한 순항미사일이 4일 무장장비 전시회 '국방발전-2025'에서 선보인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은 전략순항미사일 화살-1·2형에 전술핵탄두 화산-31을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군사전문기자 출신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북한이 오늘 공개한 순항미사일은 지대지(지상 대 지상)를 함대지로 개량한 화살 계열 순항미사일"이라며 "지상 수직 발사관에서 콜드런치 방식으로 발사가 이뤄진 것으로 보이고, 최현급 구축함에서 탑재 시험 발사도 이어서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이번 발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을 앞두고 여러 차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나고 싶다고 공개적으로 발언한 가운데 이뤄졌다.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 제의에는 구체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핵무력 강화 의지를 재확인한 데 따라, APEC 계기 북미회동은 더욱 멀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일본에서 출발해 경주에 도착 후 이재명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전날 순항미사일 시험발사에는 박정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정식 당 중앙위 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총국장 등이 참관했다. 김 위원장은 참석하지 않았다.
박정천 부위원장은 "전쟁 억제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 나갈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무력을 실용화 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각이한 전략적 공격수단들의 신뢰성과 믿음성을 지속적으로 시험하고 그 능력을 적수들에게 인식시키는 것 그 자체가 전쟁 억제력 행사의 연장이자 보다 책임적인 행사"라고 했다.
그는 "국가수반은 이미 강력한 공격력으로써 담보되는 억제력이 가장 완성된 전쟁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고 정의하였다"며 "우리는 자기의 전투력을 끊임없이 갱신해나가야 하며 특히 핵전투 태세를 부단히 벼리는 것은 우리의 책임적인 사명이고 본분"이라고 했다.
통신은 박 부위원장이 "구축함 《최현》호와 《강건》호 해병들의 함운용 훈련 및 무기체계 강습실태를 료해(파악)하고 해병들의 군사실무적 자질을 보다 높여주기 위한 해당한 과업들을 포치(지시)하였다"고 했다.
시험발사 기사는 일반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다. 대내용보다는 대외 메시지 의도가 강한 것으로 해석된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어제(28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징후를 사전에 인지해 대비하고 있었다"며 "오후 3시경 북한 서해북부 해상에서 순항미사일을 포착했고,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뉴시스>뉴시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