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복귀 시기 다른데 시험은 똑같이?…9월 복귀 전공의 또 특혜 논란

입력 : 2025-10-28 19:37:00 수정 : 2025-10-28 19:03:18
장한서 기자 jh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수련 기간 불충족 자격 미달 불구
정부, 불이익 없이 예외 인정 허용
3·6월 복귀자 “역차별” 강력 반발
‘배신자’ 낙인찍기 우려도 지속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집단 사직한 뒤 지난달 복귀한 전공의들에 대해 정부가 내년 상반기 전문의 시험과 레지던트 모집에 지원을 허용하기로 방침을 정하면서 또다시 ‘특혜 논란’이 일고 있다. 앞서 병원 현장을 지켜온 3·6월 복귀 전공의들은 “역차별”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의료계에서는 일찍 복귀한 전공의를 대상으로 “배신자들”이라며 조롱하는 게시글이 이어지는 등 낙인찍기가 반복되고 있다.

28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수련협의체 논의 등을 거쳐 이런 방침을 정하고 이번 주 관련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일반의들은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의 전공의 과정을 거친 후 매년 2월 치러지는 전문의 시험에 합격해야 자격을 얻을 수 있다. 9월 복귀한 레지던트의 경우 내년 8월에야 수련이 끝나기 때문에 2027년 2월에야 시험을 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이들에게 예외를 인정해 내년 2월에 시험을 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것이다. 시험을 주관하는 대한의학회는 내년 시험을 시행하고, 남은 수련 기간을 모두 채운 뒤 최종 합격 여부를 정하는 ‘조건부 합격제’를 시행하기로 지난 23일 정했다. 과목별로 의료계 내부에서도 첨예하게 의견이 갈렸지만, 끝내 이 같은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내년 상반기 레지던트 모집도 3·6월 복귀 전공의들은 지원에 문제가 전혀 없지만, 수련 기간이 부족한 9월 복귀자들도 상반기 지원 기회를 열어줬다. 인기 과목의 경우 상반기에 정원이 마감되는 경우가 많아 9월 복귀자들의 우려가 커지자 또 한 발 물러난 것이다.

정부는 전문의 배출 부족 등을 고려했을 때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역 의료현장 등에 전문의 수급난이 있다”며 “레지던트도 3·6월 복귀자만 먼저 모집하면 의료 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먼저 복귀한 전공의들은 “특혜이자 역차별”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다수 전공의가 사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련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먼저 복귀했음에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3월 복귀한 전공의 A씨는 “제도적 안전장치나 혜택 없이 오직 ‘병원을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 하나로 진료 현장으로 돌아왔다”며 “그러나 9월에 복귀한 이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지원 자격을 부여받고 있다. 역차별을 받는 구조가 만들어진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이어 “‘혼자 먼저 복귀했다’는 이유로 동료들로부터 부정적인 시선과 고립까지 견뎌야 했다”며 “복지부는 조기 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보호 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 헌신이 불이익으로 돌아오는 구조적 부당함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복귀 시점에 따라 내부 갈등이 격화하고 있다.

의료계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조기 복귀 전공의들에 대해 조롱하는 게시글이 이어지고 있다. ‘3·6감(해당 월 복귀) 인턴 인생 망했네’라는 제목의 글에는 ‘조금의 손해도 보기 싫어 친구·동료·인맥 다 버리고 (병원에) 들어갔지만, 결국 (9월 복귀자) 선지원 허용해 주면서 평판 바닥’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레지던트로 추정되는 작성자는 “3, 6월 전공의 복귀자(인턴)에게 최하점을 주겠다”고 썼다. 복지부 관계자는 역차별 논란 등에 대해 “여러 우려스러운 부분을 살펴보고 있다”며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오피니언

포토

안은진 물오른 미모…시크 표정으로 찰칵
  • 안은진 물오른 미모…시크 표정으로 찰칵
  •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정려원 '완벽한 미모'
  • 초아, 청량한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