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임금 늘면서 ‘양극화 현상’도 심화
국내 임금근로자 5명 중 1명은 월 200만원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 500만원 이상의 고임금 근로자와 월 100만원 미만의 저임금 근로자가 각각 증가하며 임금의 양극화도 심화하는 양상이다.
국가데이터처가 28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임금근로자는 2241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27만7000명 증가했다.
임금수준별로 보면 ‘200만~300만원 미만’이 30.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300만~400만원 미만’(22.4%), ‘500만원 이상’(16.3%), ‘400만~500만원 미만’(11.2%), ‘100만~200만원 미만’(9.9%), ‘100만원 미만’(9.6%) 순이었다.
고임금과 저임금 간의 격차는 더 벌어졌다. 500만원 이상은 전년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는데, 100만원 미만에서도 0.2%포인트 늘어났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200만~300만원에서는 1.6%포인트 감소했고, 100만~200만원도 0.8%포인트 줄었다. 100만원 미만에선 단순노무종사자나 서비스종사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는데, 고령화 영향으로 노인 일자리가 증가하며 비중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사에선 요양보호사, 간병인 등의 ‘비거주 복지시설 운영업’ 종사자가 168만8000명으로 5.8%포인트 증가하며 234개 산업 소분류 중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면 농·어가 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작물 재배업’ 취업자는 11만5000명 감소했고, ‘건물건설업’도 6만9000명 줄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