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8일 "성장세가 확대하고 있다"며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1.2%(전기비·속보치)로 작년 1분기 이후로 6분기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것이다.
기재부는 이날 세종청사 기자실에서 진행한 경제동향 브리핑에서 "3분기는 새 정부의 온전한 첫 경제성적표"라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작년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사상 최초로 4분기 연속으로 0% 내외 성장률을 보였다가, 2분기에는 새정부 출범에 따른 심리회복 등으로 경기 부진에서 반전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간소비가 지난 2022년 3분기 이후로 3년만에 최대폭 증가했다면서 "심리 개선과 소비쿠폰 추경, 증시 활성화 등이 작용했다"고 해석했다.
설비투자도 양호한 반도체 업황에 힘입어 기계류를 중심으로 '플러스'로 돌아섰고, 건설투자도 그간의 부진에서 거의 벗어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기계와 장비,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입이 1.3% 증가한 것 역시 내수 회복 흐름을 방증한다고 봤다.
전체적으로는 수출이 선방하는 가운데 내수가 성장을 견인하고, 재정의 마중물 역할에 힘입어 민간이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게 정부 진단이다.
김재훈 경제정책국장은 "3분기 GDP는 내부 전망보다는 확실히 많이 좋다"고 말했다.
연간 성장률 전망치(0.9%)의 상향조정 가능성에는 "연간 전망에는 미·중 및 한·미 관세협상의 불확실성이 있지만, 기존 전망보다는 1% 성장률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봤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가난의 대물림](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76.jpg
)
![[데스크의 눈] 설국열차와 부동산 시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87.jpg
)
![[오늘의 시선] 한국외교에 경종 울린 ‘캄보디아 사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8057.jpg
)
![[안보윤의어느날] 서툰 말 서툰 마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8/128/2025102851799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