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노폐물 배출하는 아교림프계 기능 저하가 간접 경로로 영향
수면 중 기도가 좁아져 발생하는 코골이는 수면무호흡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표적 증상이다. 실제로 ‘습관성 코골이 환자’의 약 70%는 수면무호흡증이 함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이나 인지기능저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최근 이에 대한 구체적 발병 경로가 밝혀졌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고려대 의대 인간유전체연구소 신철 교수·하버드의대 베스 이스라엘병원 수면의학과 로버트 토마스(Robert Thomas) 교수 공동 연구팀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뇌의 노폐물 배출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인지기능저하를 유발한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증이 인지기능저하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아교림프계(glymphatic system)’ 기능 저하가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하고,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에 참가한 성인 1100명을 상대로 추적 관찰했다. 아교림프계는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등을 비롯해 뇌에 축적되는 다양한 노폐물을 배출하는 체계로, 깊은 잠이 들었을 때 가장 활발히 작동한다.
평균 4.2년 동안 참가자를 관찰한 결과, 수면무호흡증 환자는 MRI에서 관찰되는 아교림프계의 활성도 지표(DTI_ALPS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이에 따라 인물이나 장면 등을 잘 기억하는지를 평가하는 ‘시각 기억력 점수’도 뚜렷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수면무호흡증이 인지기능저하를 직접적으로 유발하기보다 아교림프계 기능저하를 거친 간접적인 경로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수면무호흡증이 심해질수록 이러한 양상은 더욱 강해졌으며 반대로 양압기 치료 및 생활습관 개선 등으로 수면무호흡이 호전된 환자는 아교림프계 활성도와 기억력이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수면무호흡 환자의 치매 예방을 위해 양압기 치료 등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해 향후 치료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중요한 근거가 될 전망이다.
윤창호 교수는 “수면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어떤 원리와 경로로 인지기능저하를 유발하는지 규명한 장기간 관찰 연구”라며 “잘 자는 것이 곧 뇌 건강을 지키는 길임을 명심하고 수면 무호흡증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저명 국제학술지 '미국 호흡기중환자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에 게재됐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레모 퇴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44.jpg
)
![[박창억칼럼] 겸손이 그렇게 힘든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35.jpg
)
![[기자가만난세상] 특별하지 않는 지역 방문의 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520.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분노보다 성찰, 배척보다 포용](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7/128/20251027517465.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