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3일 "쌀 수급 불균형이 반복되지 않도록 중장기 구조를 개선하겠다"면서 "수급조절용 벼를 포함한 전략작물직불 예산을 대폭 확대하고 전략작물 생산과 연계한 소비 활성화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의 벼 수확 현장과 쌀 가공시설을 점검하고 수확기 쌀 수급 상황과 농업 현장의 의견을 청취했다.

그는 콤바인 수확 작업에 참여한 뒤 농업인들과 올해 작황과 쌀값 동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농업인들은 "최근 쌀값이 회복돼 올해 수매가에 대한 기대가 크다"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올해 수확기 대책으로 예상 과잉 물량 16만5천t(톤) 중 10만t을 격리하고 내년 2월 전에 수급을 다시 전망해 상황에 맞는 대책을 추가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예상치 못한 깨씨무늬병 확산으로 피해가 커 이를 농업재해로 인정했다"면서 "신속한 조사 후 피해 농가에 복구비를 지원하고 농가 희망 시 피해 벼를 정부가 전량 매입해 손실을 최소화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날 송 장관이 방문한 청원생명농협쌀공동사업법인은 도정과 쌀 판매만 하는 다른 미곡종합처리장(RPC)과는 달리 쌀 스낵, 떡류 등 쌀 가공제품을 생산해 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선도하는 곳이다.
송 장관은 "이제 미곡종합처리장도 단순 도정을 넘어 가공식품 개발과 신시장 개척으로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면서 "즉석밥, 쌀가루, 가공·간편식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편해야 쌀 산업이 지속 가능해진다"라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쌀 가공산업 육성 정책을 강화해 농업인의 경영 안정과 쌀 소비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