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 등 이착륙 시간도 조정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다음달 13일 치러진다. 정부는 관공서와 기업 출근 시간을 늦추고, 항공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하도록 하는 등 시험이 안정적으로 시행되도록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21일 국무회의에서 ‘2026학년도 수능 당일 안정적 시험 시행을 위한 지원대책’을 보고했다. 올해 수능은 11월13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5분(시험편의제공대상자 기준 오후 9시48분)까지 전국 1310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응시자는 전년(52만2670명)보다 3만1504명 증가한 55만4174명이다.
교육부는 경찰청·시도교육청 등과 함께 교통 지원, 소음 방지책 등을 마련했다. 우선 수험생이 교통 혼잡으로 시험장에 늦게 도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관공서·기업체 등에 출근 시간을 오전 10시 이후로 조정하도록 요청한다.
또 오전 6시∼8시10분에는 수도권 지하철 운행을 늘리고, 경찰서 등 행정기관 비상 수송차량을 수험생 이동 경로에 배치해 이동을 지원한다. 시험장 200m 전방부터 차량 출입이 통제돼 자차 이용 수험생은 200m 전방에서 내려 걸어가야 한다.
영어 듣기평가 시간인 오후 1시10∼35분에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항공기·헬리콥터 이·착륙 시간을 조정하고, 포 사격 등 군사훈련도 중단한다. 교육부는 듣기평가 시간대 외에도 시험장 주변을 지나는 버스·열차 등은 서행하며 경적 사용을 자제하고, 행사장·공사장 등의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밖에 각 시도는 기상 악화에 대비해 도서·벽지 수험생 수송 대책, 제설 대책 등을 마련한다. 수험생은 11월7일부터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시험장 날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17개 시도교육청은 안전한 시험 환경 조성을 위해 이달 31일까지 전체 시험장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한다.
교육부는 경찰청, 교육청과 함께 문답지 보안 관리를 위한 철저한 경비체계를 마련하고, 모든 시험지구에 교육부 중앙협력관을 파견해 문답지 관리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그동안 수험생들이 갈고닦은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모든 부처와 함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수험생 여러분은 건강에 유의하며 마음 편히 시험 준비에 전념하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