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가족, 10만弗 감당 못했을 것
직원 비자 비용 앞으로도 대납”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젠슨 황(사진)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H-1B 비자 정책이 있었다면 가족이 미국에 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민은 아메리칸 드림의 토대’라고 강조했다.
황 CEO는 8일(현지시간) 미 경제 매체 CNBC 프로그램 ‘스쿼크박스’와 인터뷰에서 “현재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당시에 적용됐다면 우리 가족의 미국 이민은 불가능했을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비자 정책에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외국의 전문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H-1B 비자 신청 시 고용주가 비자당 10만달러(약 1억4190만원)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보다 100배 인상된 수준이다.
황 CEO는 대만에서 태어나 태국으로 이주한 뒤 9살 때 형과 함께 미국에 이민을 왔고, 부모님은 약 2년 뒤 합류했다. 그는 “우리 가족은 10만달러를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그래서 가족과 내가 여기 올 기회 자체가 사라졌을 것”이라고 돌아봤다. 이어 “‘아메리칸 드림’은 누구든 노력과 재능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다는 이상(ideal)을 의미한다”며 “우리 가족은 더 많은 기회와 이 놀라운 나라의 혜택을 누리기 위해 미국에 왔다”고 덧붙였다.
현재도 매년 1400건의 비자를 지원하는 황 CEO는 “앞으로도 직원들의 H-1B 비자 비용을 계속 부담하겠다”며 “뜻밖의 행운(serendipity)이 일어날 기회가 여전히 존재하도록 정책에 일부 개선이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의 새 이민 정책이 자신과 같은 가족의 이민을 막을 수는 있지만 “그럼에도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고의 인재를 끌어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 CEO는 현재 AI 산업에 대해 “AI가 충분히 똑똑해져서 모두가 사용하고 싶어 하는 기술이 됐다”며 “이에 따라 컴퓨팅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지금 두 개의 ‘기하급수적 성장’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AI 모델이 단순한 질문 응답을 넘어 복잡한 추론을 수행하는 단계로 발전하고 있다”며 “AI 추론(reasoning) 모델은 엄청난 양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지만, 그만큼 출력 결과가 뛰어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AI 경쟁에서 어떤 나라가 앞서가고 있나’는 질문에 황 CEO는 “현재 미국은 중국보다 그리 많이 앞서 있지 않다”고 냉정하게 평가했다. 그는 “중국이 AI를 지원할 전력 인프라를 훨씬 더 빠르게 구축 중”이라며 “에너지 측면에서는 중국이 훨씬 앞서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I 산업이 급증하는 수요를 맞추기 위해 가능한 모든 방식으로 에너지 생산에 투자해야 한다”며 “데이터센터는 천연가스를 이용한 자가발전으로 시작해 앞으로는 핵발전까지 고려해야 할 시점이 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