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미국 우선주의’ 외치더니…커피값 뛰고 지지층 뿔났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06 21:47:13 수정 : 2025-10-06 21:47:12
윤선영 기자 sunnyday702@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힘의 논리가 오히려 부메랑이 되고 있다. 자국 산업 보호를 앞세운 ‘트럼프 관세’는 수프 캔부터 자동차 부품까지 물가를 끌어올리며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졌다. 여기에 핵심 지지층인 미국 농민마저 관세 정책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호소하고 나섰다.

 

TOPSHOT - US President Donald Trump departs after addressing senior military officers gathered at Marine Corps Base Quantico in Quantico, Virginia, on September 30, 2025. Defense Secretary Pete Hegseth said Tuesday the US military must fix "decades of decay" as he addressed a rare gathering of hundreds of senior officers summoned from around the world to hear him speak near Washington. (Photo by Jim WATSON / AFP)/2025-10-01 12:46:54/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 사태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여당인 공화당 책임론이 더 크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은 한국인 대규모 구금 여파로 신축 공장들의 건설 일정 지연과 투자 위축 우려가 커졌다. 전문직 비자(H-1B) 수수료 인상은 해외 고숙련 정보기술(IT) 인력에 의존해온 빅테크를 흔들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보여준 ‘강경 대응→여론 악화→뒤늦은 수습’ 행보는 강성의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의 불만까지 키우고 있다.

 

◆통조림부터 커피까지…물가 ‘껑충’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대규모 수입 관세 폭탄이 수프 캔부터 자동차 부품까지 이미 가격을 치솟게 만들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해 8월까지 6개월 동안 오디오 기기는 14%, 의류는 8%, 공구·하드웨어·부품 가격은 5% 상승했다. 미국은 이들 제품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다.

 

The U.S. Capitol dome is reflected in a puddle on the ground, on the day U.S. President Donald Trump met with top congressional leaders from both parties, just ahead of a September 30 deadline to fund the government and avoid a shutdown, in Washington, D.C., U.S., September 29, 2025. REUTERS/Nathan Howard/2025-09-30 09:05:15/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관세율을 대폭 인상했는데도 올해 8월 미국 물가 상승률이 2.9%에 그치면서 충격이 예상보다 크지 않다는 진단이 있었다. 하지만 이는 기업들이 재고 소진 등의 방법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나타난 일시적인 현상에 불과하다는 분석이다. 기업들은 현재 보유하고 있던 재고를 소진하고 관세로 인한 원가 상승의 부담을 소비자들에게 전가하기 시작했다는 게 FT의 설명이다.

 

월스트리트의 시장조사기관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은 올해 4월 이후 주요 소매업체들이 티셔츠·신발 등 의류, 자전거, 식기세척기, 스포츠용품 등 다양한 품목에서 가격을 인상했다고 발표했다. 조 펠드먼 텔시 어드바이저리 그룹 분석가는 “이는 관세가 영향을 미쳐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부연했다. 세계 최대의 가구제조업체인 애슐리 퍼니처는 업계 소식지를 활용해 이날부터 대부분의 제품 가격을 3.5∼12% 올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미국은 세계 최대 커피 수출국 브라질에도 50%의 수입 관세를 부과하면서 커피 가격도 상승하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지난달 “지금까지는 미국 소비자가 아닌 미국 수입업자들과 소매상들이 관세 인상에 따른 부담을 대부분 떠안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앞으로는 소비자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하는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네이선 시츠 씨티그룹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금까지 관세 부담 중 소비자가 진 비율은 30~40%에 불과했고 기업은 약 3분의 2를 맡아 왔다”며 “몇 달 안으로 소비자의 부담 비율이 약 60%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U.S. President Donald Trump speaks during a meeting of senior military leaders convened by U.S. Defense Secretary Pete Hegseth, at Marine Corps Base Quantico in Quantico, Virginia, U.S., September 30, 2025. REUTERS/Kevin Lamarque/2025-09-30 22:52:58/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美 여론 “셧다운? 트럼프·공화당 탓”

 

미국 연방정부는 공공의료보험인 ‘오바마 케어’ 보조금 지급 연장을 둘러싼 여야 간 이견으로 2026 회계연도 임시예산안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서 지난 1일부터 셧다운에 돌입했다. 백악관과 공화당은 셧다운의 책임을 민주당에 전가하려고 하지만 전략이 통할지는 미지수다. 셧다운의 주된 책임은 민주당보다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에 있다고 보는 응답이 우세하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CBS 방송과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지난 1∼3일 미국 성인 24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표본오차 ±2.4%포인트)를 보면 응답자의 39%는 이번 셧다운 사태의 책임자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을 꼽았다.

 

민주당에 책임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30%였다. 나머지 31%는 양당 모두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이번 셧다운이 경제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이들은 무려 80%(매우 우려 49%, 어느 정도 우려 31%)에 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도 42%로 다소 하락했다. 이는 지난달 조사 때의 44%보다 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정책별 세부 지지율은 이민 45%, 경제 40% 인플레이션 35%로 모두 절반을 넘지 못했다. 또 응답자의 53%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미국 내 일자리를 잃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셧다운을 정치적 반대파를 겨냥한 공격이나 본인의 정책을 밀어붙일 계기로 활용하려는 모습이다. 셧다운 시 국정과제 우선순위에 맞지 않는 연방 부처나 기관의 공무원을 대거 해고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고 이미 정부 기관에 관련 공문을 보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백악관은 홈페이지에 “민주당이 정부를 폐쇄했다”는 글귀와 셧다운 지속 시간을 초 단위로 띄워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CBS와 인터뷰에서 여야 지도부와 회동을 앞두고 “문제를 어떻게 풀지 그냥 모르겠다”며 “민주당은 사기, 낭비, 오남용에 관심이 없다”고 날을 세웠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셧다운 대응 방식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답한 응답자는 52%로 나타났다. ‘지지한다’, ‘잘 모르겠다’고 한 응답자는 각각 32%, 16%로 집계됐다.

 

This image from video provided by U.S.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 via DVIDS shows manufacturing plant employees waiting to have their legs shackled at the Hyundai Motor Group’s electric vehicle plant, Thursday, Sept. 4, 2025, in Ellabell, Ga. (Corey Bullard/U.S.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 via AP) AP PROVIDES ACCESS TO THIS PUBLICLY DISTRIBUTED HANDOUT PHOTO PROVIDED BY U.S. IMMIGRATION AND CUSTOMS ENFORCEMENT; MANDATORY CREDIT./2025-09-07 07:16:02/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구금 트라우마에 인재 내치기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을 이익을 최우선으로 한다는 이유로 펼친 각종 정책은 역풍을 불러오고 있다. 지난달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규모 한국인 구금이 벌어졌던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 지역을 지역구로 둔 버디 카터 연방 하원의원은 1일 현지 매체 메이컨텔레그래프와 인터뷰에서 “현대차·LG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한국인 노동자들이 다시 돌아오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ICE는 지난달 4일 서배너 인근 현대차 배터리 공장에서 단속을 벌여 총 475명을 체포·구금했는데 이 중 다수가 한국 국적이었다. 당초 미국은 한국 근로자들이 체류 자격을 위반한 상태에서 불법적으로 근로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일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지고 과도한 단속으로 인한 기업들의 투차 위축 우려가 제기되자 여파를 최소화하려는 수습에 나섰다.

 

President Donald Trump speaks to reporters upon arrival on the south Lawn at the White House in Washington, Sunday, Oct. 5, 2025. (AP Photo/Manuel Balce Ceneta)/2025-10-06 08:09:32/ <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뒤늦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다른 나라나 해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하는 것을 겁먹게 하거나 의욕을 꺾고 싶지 않다”며 “그들이 자국의 전문 인력을 일정 기간 데려와 점차 철수해 자국으로 돌아갈 때까지 미국인들에게 매우 독특하고 복잡한 제품들을 어떻게 만드는지 훈련시켜 주길 바란다”고 했다. 이후 한미 양국은 재발 방지대책 마련에 합의했지만 현지 구치소에 수감됐던 근로자들이 미국 재입국을 꺼리고 있어 완전한 법적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여전하다.

 

트럼프 대통령이 H-1B 비자 수수료를 기존 1000달러(약 140만원)에서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로 100배 증액한다고 발표한 것을 놓고도 우려의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H-1B 수수료 인상이 실리콘밸리 생태계를 뒤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기업은 대폭 올라간 수수료와 고임금을 감당할 자금력을 보유한 반면 스타트업은 그렇지 않기에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탓이다. 빌랄 주베리 레드 글래스 벤처스 매니징 파트너는 NYT에 “이러한 정책 변화는 핵심 인재의 유입을 흔들고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미국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며 “정말 제 발등을 찍는 일”이라고 꼬집었다.

 

미국 기업들이 인재를 뺏길까 골머리를 앓는 사이 영국, 독일, 캐나다 등은 이를 기회로 보고 있는 모양새다. 영국은 H-1B와 비슷한 비자 수수료를 전면 폐지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독일과 캐나다도 인재 흡수 방안을 강구하고 나섰다. 중국은 지난 1일부터 첨단 과학기술 분야 인재 유치를 목표로 ‘K 비자’ 시행에 들어갔다.

 

◆일단 질렀는데…말 바꾸자 지지층도 ‘부글부글’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 일변도로만 나아가는 것은 아니다. 여러 사안에서 오락가락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는 반(反)이민 정서를 고려한 정치적 계산이자 대내외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투자 유치와 반이민 정책은 서로 충돌할 수밖에 없어 트럼프 대통령에게도 딜레마다.

 

그는 중국인 유학생 정책과 관련해서도 입장을 뒤집었다.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지난 5월 “비자를 공격적으로 취소하겠다”고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8월 “60만명까지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정책에 열광했던 핵심 지지층 사이에서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

 

외환 위기를 겪는 아르헨티나에 200억달러(약 28조원)를 지원하기로 한 약속도 논란을 키우고 있다. 아르헨티나가 미국 대신 중국에 대두를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초 중국은 미국산 대두의 최대 구매국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판로가 막혔다. 이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두를 수출하는 아르헨티나에 지원을 약속하자 농민들의 분노가 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에이펙)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대두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했지만 농민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긴급 보조금 발표에도 농민들은 “일회성이 아닌 장기 해법이 필요하다”고 맞서고 있다.

 

겉으로는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업가적 관점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이해할 만한 일관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보수 성향 싱크탱크 케이토연구소의 데이비드 비어 이민정책 책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강경한 수사를 즐겨 쓰지만 동시에 경제적 측면에서는 열린 태도를 보여왔다”고 말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