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환자 ‘아이안심톡’ 상담
폭력 피해 긴급전화도 가동
추석 연휴 전국 응급의료기관 413곳과 권역외상센터 17곳이 24시간 공백 없이 운영된다. 정부는 의료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의·정 갈등에서 이어진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한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의사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지난달 전공의 상당수가 복귀하면서 병원들의 진료 역량이 상승하고 있으나, 응급의학과 전공의 복귀율은 다소 낮아 비수도권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연휴 기간 의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있다”며 비상진료체계를 그대로 가동한다고 밝혔다.

연휴에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의 위치, 운영시간 등 정보는 응급의료포털, 응급똑똑앱, 콜센터(12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아가 갑작스럽게 아플 때는 아이안심톡 사이트에 접속해 응급처치, 상비약 이용 방법 등을 24시간 상담받을 수 있다. 소아환자는 소아전문응급센터 12곳과 소아청소년과병원 3곳이 24시간 진료하며, 달빛어린이병원 128곳도 연휴 내내 문을 연다. 심뇌혈관 환자는 권역·지역센터 총 24곳에서 24시간 전문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전국 6개 광역상황실은 119 구급대와 협력해 중증 응급환자의 수용 가능 병원을 실시간으로 연계해 일명 ‘응급실 뺑뺑이’로 불리는 미수용 사례를 최소화한다. 닥터 헬기와 전담구급차도 가동해 골든타임 내 환자 이송을 지원한다.
연휴 기간 폭력피해 긴급전화, 위기 청소년 상담·보호 및 가족 서비스도 정상 운영된다. 성평등가족부는 여성긴급전화 1366과 청소년상담 1388 등을 24시간 가동한다고 밝혔다. 미혼모·부 지원상담, 한부모가족 상담을 위한 가족상담전화나 다문화가족과 이주여성을 위한 다누리콜센터도 마찬가지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