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95조… 6개월 만에 14% 줄어
거래규모 12%·영업이익 17% 감소
이용자 1000만명 돌파… 30대 최다
금감원장, CEO들에 감시 강화 주문
간담회 빗썸 제외… 경고메시지 분석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시가총액과 거래규모가 올해 상반기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발 관세 갈등 등의 여파로 투자심리가 약화한 탓으로 풀이된다.

금융정보분석원과 금융감독원은 30일 국내 가상자산사업자인 거래소 17개소, 보관·지갑업자 8개소에 대한 상반기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거래소가 가상자산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이라면 보관·지갑업자는 개인의 암호화폐 등을 전자지갑에 보관하고 인출·송금을 지원한다.
조사 결과 국내 가상자산의 시가총액은 6월 말 기준 95조1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말 110조5000억원보다 15조4000억원(14%) 줄었다. 시가총액은 사업자별로 보유한 가상자산 수량에 해당 자산의 시장가격을 곱해 산출한다. 이런 감소폭은 같은 기간 글로벌 가상자산 시가총액 감소폭(7%)보다 두 배가량 크다. 지난해 하반기 대비 일평균 거래규모(6조4000억원)는 12%, 영업손익(6185억원)도 17% 빠졌다.
당국은 “글로벌 관세 갈등과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으로 인해 상승세가 둔화하고 변동성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대표적 가상자산인 비트코인에 대해선 해외 기관 투자가 확대돼 이 기간 가격이 올랐지만 개인 투자심리는 약화해 가상자산 전반의 가격은 혼조세를 보인 것도 영향을 줬다.
반면 코인으로 다른 코인을 사고파는 코인마켓의 규모는 올해 상반기 지속해서 커졌다. 시가총액은 지난해 말(1231억원)보다 298% 오른 약 4배(4896억원) 올랐고 일평균 거래규모도 1억6000만원에서 6억1000만원으로 뛰었다. 같은 기간 원화마켓의 시가총액이나 거래금액이 줄어든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가상자산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원화를 새로 입금한 거래보단 보유 코인으로 다른 코인으로 옮겨타는 거래가 활발해진 것으로 보인다.
가상자산을 이용하는 개인·법인 수도 늘었다. 단순 가입자가 아닌 실제 매매가 가능한 상태를 말하는 ‘거래가능 개인·법인 이용자수’는 지난해 말(970만명)보다 107만명이 늘어 1077만명을 기록했다. 연령대를 보면 지난해 하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28%)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40대(27%), 20대 이하(19%), 50대(19%), 60대 이상(7%)이 뒤를 이었다. 이용자 중 70%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으며,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0%(109만명) 수준이다. 1억원 이상 보유자 비중은 1.7%(18만명)로 집계됐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이날 두나무와 코빗, 코인원 등 10개 주요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와 간담회를 갖고 “가상자산거래소의 시장감시 기능을 강화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근절’이 국정과제인 점을 언급하며 “시장감시조직·인력 확충, 이상 거래 적출 시스템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자체적인 시장감시 기능 강화에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2위 빗썸은 빠졌다. 빗썸이 초대받지 못한 것에 대해 당국이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빗썸은 최근 당국의 경고에도 ‘코인 대여’나 해외 거래소와의 ‘오더북(호가창) 공유’ 등 논란이 된 서비스를 강행했다.
업계 3위인 코인원에 대해선 검찰이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이날 서울남부지검 가상자산범죄합동수사부(부장검사 이상혁)는 코인원 본사 등을 압수수색했다. 이번 수사는 올해 3월 금감원 종합검사에서 지적된 사안에 대한 추가 확인 차원에서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코인원 측은 “종합감사 당시 충분히 소명했음에도 추가적 확인이 필요하다는 금감원 요청에 따라 남부지검에 (수사가) 의뢰됐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