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실세’ 총무비서관 국감 출석 막는 與, 국민 안중에 없나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9-25 23:00:36 수정 : 2025-09-25 23:00: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그제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대통령실 국정감사에 부를 증인 선정을 놓고 여야가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통령의 측근들을 뜻하는 이른바 ‘성남 라인’의 핵심으로 꼽히는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1급)의 증인 채택을 한사코 막아섰기 때문이다. 총무비서관은 대통령실 인사·예산을 담당하는 자리다. 고위직 인사 검증과 사정 수사 등 민감한 업무를 관장하는 민정수석(차관급)의 국회 출석을 두고 여야가 옥신각신한 것은 여러 번 봤다. 하지만 총무비서관 때문에 공방이 벌어졌다는 얘기는 금시초문이니 당혹스러울 뿐이다.

김 비서관에 관해선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다. 1990년대에 변호사이던 이 대통령과 성남시에서 시민운동을 함께했고 이 대통령이 경기지사, 국회의원이던 시절 비서관, 수석보좌관으로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다는 것이 전부다. 이런 그가 지난 6월 대선 후 이재명정부 대통령실의 최고 실세로 지목됐다. 오죽하면 ‘모든 일이 김현지를 통해야만 풀린다’는 의미로 ‘만사현통’이란 신조어까지 생겨났겠는가. 국민이 김 비서관에 대해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가 국회 운영위의 대통령실 국감에 출석한다면 많은 의문점이 해소될 것이다.

이날 국민의힘은 1992년 14대 국회 이후 청와대 또는 대통령실 국감에 총무비서관이 불출석한 전례가 없다는 점을 들어 김 비서관의 증인 채택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자 운영위 여당 의원들이 내놓은 반응이 가관이다. 문진석 의원은 “정쟁으로 삼으려는 국민의힘의 의도에 동조할 수 없다”, 박상혁 의원은 “강훈식 비서실장을 증인으로 채택하면 충분하다”고 반박했다. 김 비서관이 정쟁의 대상이 될 만큼 실세라는 점을 자인한 셈 아닌가. 또 장관급인 강 실장보다 김 비서관이 더 중요한 인물이란 뜻인가 싶어 실소를 금할 길 없다.

삼권분립의 한 축으로 사법부 수장인 대법원장은 청문회 증인으로 부르겠다는 민주당이 정작 대통령실 1급 비서관 앞에선 쩔쩔매는 태도가 그저 한심할 따름이다. 민주당 김영진 의원은 어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총무비서관이든 누구든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 나와서 공직자로서 입장을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며 “그것이 국민에 대한 도리”라고 말했다. 백번 옳은 지적이 아닐 수 없다. 만사현통 논란을 지금 정리하지 않으면 두고두고 이재명정부에 부담이 될 것이다. 민주당은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 막는 우를 범하지 말길 바란다.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