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준희 방산중소벤처기업협회 회장은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방AI 응용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활용전략’ 세미나에서 AI 등 첨단기술이 국방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고 대한민국 방위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더불어민주당 부승찬 의원실과 방위사업청이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국방AI 응용 사례 연구와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통해 소요 예산 규모를 파악하고 중장기 발전 전략을 도모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날 원 회장은 ‘국방 AI 및 디지털전환과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발전방안’이란 주제로, AI와 디지털트윈 기반의 무기체계·훈련·정비체계가 통합된 차세대 방산 시스템 구축과 중소벤처기업 중심의 방위산업 육성 생태계 조성을 강조했다.
기술 개발에서 표준화와 인증, 조달, 수출로 이어지는 전 주기 지원 체계와 민군 협력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국방 혁신의 핵심임을 재확인했다.
원 회장은 ▲첨단 국방 시스템 엔지니어링의 패러다임 전환 제시 ▲안보 환경 변화와 국방 기술 전략의 전환점 ▲디지털 국방, AI·디지털트윈 기반의 전력 혁신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과 전략적 대응 ▲국방 디지털 핵심기술의 패러다임 변화 ▲AI·디지털트윈 기반 무기체계 혁신 사례 ▲제도 개선과 생태계 조성 등을 심도 있게 다루며 참석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AI 기반 무기 운용체계와 디지털트윈을 활용한 훈련·유지보수·작전 설계, 윤리·법적 기준 정비 등 국제적 흐름을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기술 중심의 전략 패러다임 전환과 중소기업의 기술 확보, 민군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원 회장은 “지금의 변화는 단순한 제도 개선이 아니라, AI 시대를 선도할 차세대 방산 혁신의 시작이자 우리 국방의 미래를 여는 도약의 순간”이라며 “기술 진화와 시스템 엔지니어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과감한 도전과 국가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