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부, 2035년부터 내연차 판매 제한 검토

입력 : 2025-09-24 19:45:00 수정 : 2025-09-24 18:29:00
차승윤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온실가스 감축목표 위한 국민 토론
전기차 등 확대… 수소열차 상업화

정부가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2035년부턴 내연차 판매 제한까지 검토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24일 경기도 광명시에서 열린 ‘2035 NDC 대국민 공개 논의 토론’에서 2018년 수송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9880만t을 2035년까지 4430~3260만t으로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감축률로 계산하면 55.2~67.0%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도로교통 분야에서 무공해차 보급 확대가 핵심 정책으로 추진된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4일 경기 광명시 기아 오토랜드 광명에서 열린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대국민 공개논의 수송분야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환경부는 2035년까지 신차 판매 대부분을 전기차(BEV)와 수소연료전지차(FCEV)로 전환할 계획이다. 특히 대형 상용차와 장거리 운송 부문에 수소연료전지차를 집중 도입한다. 김 장관은 “2035년 무공해차 등록 비중을 최소 30%에서 35% 이상으로 확대하고, 유럽연합(EU)처럼 내연기관차 신차 판매 금지를 검토하는 방안까지 포함해 단계별 감축 시나리오를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무공해차 전용 자동차세 및 법인세 혜택도 신설할 방침이다.

 

정부는 내연기관차 총 주행거리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배출량을 조정하고, 총 주행거리는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최대 40% 이상 줄인 약 3500억㎞ 수준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2030년까지 123만기로 확충하고, 차량-전력망 연계(V2G) 등 스마트 충전 기술을 포함해 전력망과 연계한다.

 

비도로 부문에서도 철도, 선박, 항공 등 모든 수송수단의 탈탄소화를 추진한다. 철도는 주요 간선망을 전기화하고 비전철화 노선에는 수소열차 상업 운행을 시작한다. 해운 부문에서도 2030년 국제해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8년 대비 20~30% 감축, 2040년에는 70~80%, 2050년에는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한다. 항공은 지속가능항공연료(SAF) 보급률을 2035년 20%, 2050년 70%까지 확대한다.

 

감축 비율이 높은 이유는 수송 부문 감축이 현재까지 가장 더딘 편이기 때문이다.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8년 9880만t에서 지난해 기준 9750만t으로 단 1.3%만 줄었다. 정부는 전기∙수소차를 2030년까지 450만대 보급하기로 목표했는데, 현재까지는 85만대 보급이 전부다. 2035 NDC 토론회는 내달 14일까지 진행된다.


오피니언

포토

유진 '강렬한 눈빛'
  • 유진 '강렬한 눈빛'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