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술 기반 교통 격차 해소
자율주행·스마트시티 실현 박차
지역 간 교통 격차를 해소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민·관 합동 K-교통 얼라이언스’가 공식 출범했다. 국토교통부와 현대차·기아는 1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서울에서 민관 협의체 NUMA(누마)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누마는 지역 간 교통 격차, 사회적?신체적 교통 약자의 이동 등 실질적인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의 혁신과 정부의 정책, 학계의 전문성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시작됐다.
협의체는 1단계로 지역교통의 인공지능(AI) 전환과 기술기반 교통문제 해결에 나선다. 이어 2단계로 자율주행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 기반의 자율주행-MaaS(통합교통서비스) 실현을 거쳐 스마트시티 전환을 위한 AI 모빌리티의 확산 등 3단계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누마는 개방형 협의체 모델로, 향후에도 참여사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협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현재 정부기관은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이 참여하고 있다. 민간기업은 현대차·기아, 현대카드, KT, CJ대한통운,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모빌리티, 한화손해보험이 협력한다. 연구기관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등이 참여한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사장)은 “현대차·기아는 주관사이자 파트너로서 교통약자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세계 도시들과 연결되는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부 2차관은 “교통은 이제 단순 인프라가 아닌 국민의 일상이자 삶을 연결하는 필수 서비스로서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교통 격차 없는 대한민국,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