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금융통화위원회에 노동계를 대변하는 위원을 포함하자는 법안이 발의된 것과 관련해 사실상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재는 28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금통위원 구성은 특정 이해집단을 반영하는 분들이 모여서 결정하는 것보다, 금융시장이나 거시경제 전체에 중립적인 견해를 가진 분들이 토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노동계를 대표하고, 경영계를 대표하는 분들이 모여서 금리를 결정한다면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금리라는 게 다수결을 통해서 (정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국민경제 전체를 보고 판단할 수 있는 금통위원이 임명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은 금통위원 7명 중 한은 측 인사를 1명 줄이는 대신 노동계 입장을 대변할 위원을 새로 포함하도록 하는 한은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앞서 민주당은 2016·2018년에도 노동계 또는 소비자단체가 추천하는 사람을 금통위원으로 두는 법안을 낸 적 있다. 금통위가 주로 비슷한 배경의 경제학자로만 구성돼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서다.
이 총재는 한은이 통화정책 결정에 대해서 독립성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도 말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사퇴를 요구하면서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는 데 대해 우회적으로 입장을 밝힌 것으로도 보인다.
이 총재는 “물가안정을 위한 통화정책, 금리정책은 반드시 중앙은행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누구나 인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금융안정 정책 등은 그 성격상 정부와의 협의가 필요하고, 한은이 이런 부분에선 공조해 왔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한국은행은 지금까지 정부로부터 금리정책을 하는 데 있어서 어떤 영향을 받지 않았다”면서 “금리정책에 관한 독립성은 다른 어느 나라보다 잘 유지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