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밥 한 줄 사 먹기도 겁나”…재료값 인상에 1줄 평균 가격 3623원

입력 : 2025-08-11 07:54:57 수정 : 2025-08-11 07:54:57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때 저렴한 가격과 ‘시성비(시간 대비 만족도)’를 만족시켜주는 간편식의 대명사였던 김밥 가격이 올해 상반기 외식 메뉴 중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0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김밥 1줄 가격은 지난 6월 말 기준 3623원으로 지난해 말(3500원)에 비해 3.5%(123원) 올랐다. 이는 참가격에서 공개하는 8가지 외식 메뉴 중 상승 폭이 가장 크다.

 

김밥 가격이 오르는 이유는 고물가로 인한 재료비, 인건비 상승이 원인이다. 다양한 속재료가 들어가는 김밥은 물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김밥 주 재료인 쌀의 가격은 6월 말 20㎏ 기준 5만9059원으로 지난해의 5만3610원보다 10.2% 비싸졌다. 

 

마른김은 10장 기준 1320원에서 1347원으로 2.1%, 시금치는 100g 기준 878원에서 961원으로 9.5% 각각 뛰었다. 여기에 임대료와 인건비 등도 꾸준히 오르면서 가격 상승세를 부추겼다.

 

김밥에 이어 가격이 많이 오른 품목은 칼국수였다. 지난해 말 9385원에서 6월 말 9692원으로 3.3% 상승했다.

 

김치찌개 백반(8269원→8500원)은 2.8%, 비빔밥(1만1192원→1만1462원)은 2.4%, 냉면(1만2000원→1만2269원)과 삼계탕(1만7269원→1만7654원)은 각 2.2%씩 가격이 올랐다.

 

자장면은 7423원에서 7500원으로 1.0% 상승했다. 삼겹살은 200g 기준 1만7269원에서 1만7654원으로 0.8% 올라 상승 폭이 가장 낮았다.

 

점심시간 직장인들이 서울 시내 한 식당가를 이용하고 있다. 뉴시스

기록적인 폭염과 폭우의 영향으로 외식 물가는 더 오를 조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특히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품목별로는 시금치(13.6%), 열무(10.1%), 수박(20.7%), 귤(15.0%) 등이 두자릿 수 이상 큰 폭으로 올랐다. 쌀 가격도 7.6%나 올랐다.

 

정부는 물가의 추가 상승을 경고하며 품목별 관리에 만전을 기한다는 방침이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