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39%의 상호관세율 통보에 자세를 낮추고 추가 협상을 요청했다.
4일(현지시간) 스위스 연방정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현재 어떤 맞대응조치도 고려하지 않는다”며 “새 협상 단계에서 더 매력적인 제안을 내놓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과의 협상에 우선순위를 두고 당분간 보복 조치도 배제하겠다는 것으로 이어 “미국산 제품의 99%를 무관세로 수입하고 시장을 왜곡시킬 만한 어떤 보조금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며 “대미 무역흑자는 불공정한 경쟁 관행 결과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31일 미국 백악관은 7일부터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발표에서 미국은 양국 무역관계가 일방적이며 스위스가 무역장벽을 철폐하기 위한 의미있는 양보를 거부했다고 주장했다.
미국과의 추가 협상이 거듭 꼬이면 스위스는 7일부터 선진국 중 가장 높은 39%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 지난 4월에 발표된 스위스의 상호관세율은 31%였지만 지난달 31일 트럼프 대통령이 카린 켈러주터 스위스 대통령 겸 재무장관과 통화한 뒤 8%p 오른 39%의 관세율을 받게 됐다. 당시 통화에서 스위스가 마땅한 양보안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이후 스위스는 비상 회의를 통해 미국에 추가 양보안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미국 측과 접촉 중이다.
현재 스위스의 대미 수출의 60%는 의약품이 차지한다. 이외 시계, 정밀시계, 초콜릿, 커피 캡슐, 치주도 주요 수출 품목으로 미국 상무부 자료에서 올해 1~5월 스위스의 대미 무역흑자는 480억달러(67조원)으로 EU, 중국, 멕시코, 베트남 다음으로 높았다.
스위스 정부는 “지난해 자국이 미국 직접투자 6위, 연구개발 투자는 1위를 기록했다”며 “이런 역동적 경제관계를 유지하길 원한다”고 거듭 호소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