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지급한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 양상이 세대·소득·성별에 따라 갈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엠브레인 딥데이터 등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일주일간 소비쿠폰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업종은 편의점(11.3%)이었다. 이어 병원·한의원·약국 등 의료업종이 5.0%, 카페가 4.4%, 일반음식점이 3.9% 순으로 높은 구매 비중을 보였다.
구매 비중은 소비쿠폰이 사용된 금액 중에서 각 업종이 결제된 비중을 분석한 비율로 소비자의 실제 지출이 어떤 업종에 집중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쿠폰 사용이 주로 생활밀착 업종에서 집중된 셈이다. 실제 소비쿠폰이 풀리면서 편의점의 고기, 간편식 등 식품류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2일 하루 동안 직전주 같은 요일(15일)과 비교해 닭고기와 국산 쇠고기 매출은 각각 229.9%, 136.3% 급증했다. 코리아세븐이 운영하는 편의점 세븐일레븐에서도 같은 기간 쌀·잡곡류 매출이 130% 뛰었다.
눈에 띄는 점은 세대 간 소비 패턴이 뚜렷한 차이를 보인 점이다. 20~30대는 편의점(20대 32.0%, 30대 37.7%, 40대 31.5%, 50대 26.4%, 60대 17.9%)과 카페(20대 16.0%, 30대 22.9%, 40대 18.1%, 50대 13.3%, 60대 8.7%) 등 접근성이 높은 업종에 소비를 집중했다. 반면 50~60대는 병원과 약국 등 건강관리 업종(20대 6.6%, 30대 12.6%, 40대 13.4%, 50대 11.8%, 60대 12.4%)에서의 결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별 차이도 나타났다. 남성은 편의점에서의 사용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으며(32.8%), 여성은 카페(17.4%)와 베이커리(7.3%) 등 취향 기반 업종에서의 지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컸다.
소득에 따른 소비처도 확연하게 갈렸다. 연소득 10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은 마트·할인점(10.7%) 등 생필품 관련 지출 비중이 높았고, 안경점(3.1%)처럼 비교적 고단가지만 생활 필수 품목에 대한 사용률도 높았다. 평소 구매를 망설이던 필수품을 소비쿠폰을 통해 해결한 것으로, 소비쿠폰이 소비 촉진을 넘어 생계 보조 기능을 수행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연소득 50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학원 등 교육 업종에서의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소득 수준에 따라 쿠폰의 소비 목적과 우선순위가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소비쿠폰 지급은 지난달 21일부터 시작됐으며 총 8조2371억원 규모로 집행됐다. 지난달 31일 오전 11시 기준 지급 대상자 90%인 4555만명이 신청을 완료했다. 신용·체크카드로 신청한 이용자가 3246만11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지역사랑상품권 719만명, 선불카드 500만명, 지류상품권 89만명 순이었다.
사업방식이 복잡하고 준비기간이 짧았음에도 신청·지급과정에서 큰 혼란이 없었다는 게 행정안전부의 자체 평가다. 다만 일부 지자체가 소비쿠폰을 선불카드에 담아 지급하면서 색상을 구분해 차별논란을 낳기도 했다. 또 일선 업무 현장에서는 과로와 부담이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행안부는 지난 6월19일 추경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뒤 직원 약 10여명으로 소비쿠폰 지급 실무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준비작업에 돌입했는데, 새벽부터 야간까지 격무가 반복되며 최근 직원 2명이 과로로 병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