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5·18민주화운동 ‘산 증인’ 회화나무 후계목, 청와대에 삽목한다

입력 : 2025-08-02 06:16:03 수정 : 2025-08-02 06:16:02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참혹한 현장을 묵묵히 지켜봤던 옛 전남도청 앞의 회화나무 후계목이 삽목 형태로 청와대에 심겨질 것으로 보인다.

 

1일 광주시에 따르면 150년전 광주읍성 남문인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 회화나무가 심어졌다. 이 회화나무는 광주학생독립운동과 5․18민주화운동 등 한국 근현대사의 아픔을 지켜본 ‘증인의 나무’다.

하지만 회화나무는 2012년 태풍 볼라벤의 강풍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고사됐다. 이후 회화나무 아래서 자라던 묘목을 키워온 한 시민이 회화나무 고사 소식을 듣고 자신이 키우던 후계목(자식나무)을 기증해 옛 전남도청 앞에 2014년 식재됐다.

 

이 회화나무가 다시 주목을 받은 것은 지난달 28일 5·18 기념행사 유공자를 표창하는 자리에서다. 이자리에서 이해중 빛고을초등학교 교사는 강기정 광주시장에게 회화나무의 삽목을 청와대에 옮겨 심어달라고 건의했다.

 

이 교사는 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 동료 교사들과 함께 5·18 회화나무의 이야기를 담은 오월의 회화나무를 출간해 교육 자료로 활용하고 있어 이 같은 아이디어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교사는 실제 회화나무의 가지를 꺾어 삽목해 기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시장은 최근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재인증 현장 실사 지원을 위해 광주를 찾은 허민 국가유산청장에게 옛 전남도청 앞에 식재된 회화나무 후계목의 청와대 삽목 이식을 제안했다.

 

광주시는 국가유산청 관계자에게 후속 조치로 회화나무 부지 및 관리 주체인 광주 동구청과의 협의를 건의한 상태다.

 

광주시 관계자는 “시장이 국가유산청장에게 회화나무 청와대 식재를 제안하면서 후속 조치로 나무 관리 관청인 동구청과 협의해 달라고 국가유산청에 요청한 상태”라며 “청와대 이전이 실제 추진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