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빠르게 15분 걷기 vs 느리게 3시간… 사망 위험 줄인 쪽은?

입력 : 2025-07-30 09:32:18 수정 : 2025-07-30 09:32:15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 연구팀 “빠른 걸음 15분, 모든 원인 사망률 19% 낮춰”
연구에 따르면 하루 15분만 빠르게 걸어도 사망 위험을 19%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걷기 운동, 얼마나 ‘빠르게’ 하느냐에 따라 건강 효과가 극적으로 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하루 15분만 빠르게 걸어도 모든 사망 위험을 20% 가까이 낮출 수 있는 반면, 느리게 3시간을 걸어도 효과는 거의 없었다.

 

30일 미국 밴더빌트대학교 웨이 정(Wai Jiang) 교수 연구팀은 30일 ‘미국 예방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에 실린 논문을 통해, 미국 남동부 성인 약 8만 명을 대상으로 16.7년간 걷기 속도와 사망률 간 상관관계를 추적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연구에 따르면, 하루 15분만 빠르게 걸어도 전체 사망률이 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느린 걸음으로 3시간 이상 걷는 경우에도 사망 위험 감소는 4%에 불과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도 아니었다.

 

특히 빠른 걸음은 심혈관 질환 사망률도 낮추는 데 효과적이었다. 하루 60분 이상 빠르게 걷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27% 낮았다.

 

연구팀은 빠르게 걷는 것이 심장의 수축 기능과 효율을 높이고, 비만이나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 요인을 줄이는 데 기여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2002∼2009년 사이 미국 남부 12개 주에 거주한 4079세 성인 약 8만 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이들의 걷기 시간과 속도, 사망 원인 등을 평균 16.7년간 추적했으며, 참가자의 66%는 흑인, 30%는 백인이었고, 절반 이상이 연소득 1만5000 달러 미만의 저소득층이었다.

 

웨이 정 교수는 “빠르게 걷기는 특별한 장비 없이도 누구나 할 수 있는 운동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건강 격차를 줄이는 데도 유용한 전략”이라며 “모든 지역사회가 걷기 운동을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