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전북 남원과 경남 밀양·하동·창녕 일대를 기회발전특구로 추가로 지정하고, 울산 기회발전특구에 대해서는 면적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2.73㎢(총 82만6000평)이 새로 지정되며, 40여개 기업이 약 1조7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예고했다.
기회발전특구는 기업의 지방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세제·재정 지원,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제도로, 산업부는 이번 지정을 올해 첫 사례로 고시했다. 지난해는 세 차례에 걸쳐 기회발전특구를 지정했다.

전북에서는 라이프케어 관련 기업의 투자 계획에 따라 남원시 0.5㎢(15만5000평)이, 경상남도에서는 나노융합산업과 이차전지, 모빌리티 부품 관련 투자를 중심으로 밀양·하동·창녕 일대 2.2㎢(67만1000평)이 각각 지정됐다. 울산의 경우 SK와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로 인해 기존 0.2㎢(6000평)에서 0.36㎢(1만1000평)으로 특구 면적이 확대됐다.
이번 지정으로 경남은 전국 14개 비수도권 시도 중 처음으로 기회발전특구 면적 상한 6.6㎢(200만평)을 모두 소진했다. 정부는 지난 6월 외국인 투자 유치를 조건으로 한 면적 상한 초과를 허용하는 고시 개정에 따라, 경남도 외국인 투자 유치 시 추가 신청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지정 지역에 예정된 투자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지자체, 기업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기회발전특구 제도를 ‘수시 신청·지정’ 방식으로 운용하며, 기업의 지방 투자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