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29일 한·미가 북·미 대화를 포함해 대북정책 전반에 관한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나갔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북한이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를 향해 담화를 발표한 것과 관련 “한·미는 향후 북미대화를 포함, 대북정책 전반에 관해 긴밀한 소통과 공조를 지속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냈다.
대통령실은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있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밝혀왔다”고도 전제했다.
대통령실은 “정부는 앞으로 평화 분위기 안에서 남북 간 신뢰를 회복하고 북·미회담 재개를 촉진하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조미(북∙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면서도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 대통령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고 밝혔다.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김 부부장은 전날 담화에서는 한국과의 ‘적대적 두 국가 관계’를 재확인하며 “서울에서 어떤 제안이 나오든 마주 앉을 일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전날 신임 장관 임명장 수여식에서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에게 김 부부장의 담화문에 대한 의견을 물으며 “평화적인 분위기 안에서 남북한의 신뢰 회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