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이 계산대에 팁 박스를 올려놓고 음식값 이외 돈을 요구하는 듯한 행동을 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음식점에서 팁을 요구하는 행위가 원칙적으로 불법으로 간주된다.
논란은 앞선 26일 문제의 식당을 방문한 A씨가 팁 박스 사진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올리면서 시작됐다.
팁 박스에는 ‘식사 맛있게 하셨냐. 항상 최고의 서비스와 요리를 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감사하다’는 식당 측의 인사말과 함께 현금을 넣을 수 있는 투입구가 있었다.
그는 “여의도에서 밥 먹고 계산하려는데 계산대 앞에 팁 박스가 떡하니 있었다”며 “여긴 한국이다. 팁 문화 들여오지 마라. 물 흐리지 말라”고 일갈했다.
A씨 글에는 단 이틀 만에 35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대부분 누리꾼들은 팁 문화를 두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계산대에 팁 박스를 두는 건 사실상 강요하는 거 아니냐는 것이다.
팁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업원에게 감사의 뜻으로 추가 지급하는 비용으로,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권 국가에서 사용된다.
이들 국가에서는 서비스업 근로자 기본급이 낮게 책정돼 고객이 주는 팁이 사실상 임금의 일부로 여겨진다.
반면 서비스업 종사자에게 정해진 월급이나 시급을 지급하는 한국에는 팁 문화는 불법에 가깝다.
현행 식품위생법 시행 규칙에 따르면 봉사료를 비롯한 모든 부대 비용을 포함한 최종 가격을 손님이 보기 쉽도록 명확히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팁 박스를 두는 것 자체는 불법이 아니다.
반면 일부 음식점은 팁을 종용하기도 한다. 지난 21일 서울의 한 냉면집은 ‘직원 회식비’ 명목으로 팁을 요구해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에 앞서 지난달에는 한 피자 가게가 2000원의 팁을 선택하지 않으면 배달 앱 주문을 수락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내걸어 비난을 받았다.
당시 해당 업소는 한 프랜차이즈 브랜드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지만, 본사 측은 “이미 가맹 계약이 해지된 매장이며, 일부 메뉴명을 그대로 사용해 소비자 혼란을 야기했다”며 법적 대응을 예고하기도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