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월 말 서초구 A아파트는 대출이 막혔지만 30억짜리 집이 ‘현금 박치기’로 팔렸다. 극심한 거래 절벽 속에서도 일부 초고가 단지는 신고가를 새로 쓰는 중이다.
29일 부동산 중개업체 집토스가 대책 이후 한 달간 수도권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시장은 극심한 거래 절벽에 빠졌음에도 소수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는 ‘극단적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가장 먼저 거래량부터 살펴보면 수도권 아파트 거래는 전월 대비 무려 72.5% 급감했다. 비수도권(-39.9%)보다 약 1.8배 더 큰 충격이다. 대출 규제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 매수 심리가 빠르게 식은 셈이다.
하지만 이 와중에도 20억 원 초과 아파트의 신고가 비율은 66.1%로 오히려 최고 수준이었다. 거래는 거의 없는데 팔리는 물건은 더 비싸게 팔리는 기현상이다.
대형 평형(85㎡ 초과) 역시 거래는 80% 가까이 줄었지만, 신고가 비율은 전 평형 중 1위(12.1%)를 기록했다. 시장의 관심은 오직 ‘희소하고 비싼 집’에만 쏠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준공년도별로도 시장의 선택은 분명했다. ‘5년 이하 신축’(12.7%)과 ‘30년 초과 구축’(9.5%)이 신고가 비율 1·2위를 차지한 것. 새 아파트와 재건축 기대주만 살아남는 ‘바벨형 시장 구조’가 뚜렷하다.
단순히 거래가 많다는 것을 넘어 얼마나 더 비싸게 거래되었는지도 다르다. 대책 이전 최고가와 비교한 상승률은 수도권이 5.6%로, 비수도권(4.1%)보다 높았다.
특히 서초구는 기존 최고가보다 평균 8.6% 더 오른 가격에 신고가가 나왔다. 양천구(8.3%), 성동구(8.3%), 강남구(8.1%)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시장은 분명하게 ‘고가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집토스 이재윤 대표는 “6·27 대책 이후 시장은 ‘침체와 과열’이 동시에 나타나는 분열된 시장이 됐다”며 “대출 규제와 무관한 자산가들이 초고가·신축·재건축 단지에 몰리며 ‘똘똘한 한 채’ 쏠림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