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호우로 충남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충남도가 홍수과 가뭄 등 홍수 등 반복되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천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폭우로 27일 오후 6시 기준 도내에서는 3664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며 "서산·예산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고, 청양·부여를 비롯한 8개 시군도 특별재난지역 추가 지정을 요청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몇 년간 반복되고 있는 집중호우와 극심한 가뭄은 우리가 예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물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말하고 있다"며 "기상이변은 더 이상 이례적인 일이 아니며 지천댐은 이러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강조했다.
지천댐 후보지인 청양군은 2022∼2023년, 부여군은 2022∼2024년 연속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올해도 청양 115억원, 부여 97억원 등 특별재난지역 지정 기준(82억5000만원)을 훨씬 웃도는 수준의 호우 피해가 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김 국장은 "청양과 부여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극심한 가뭄으로 제한급수 등을 시행한 바 있는데, 지천댐은 물을 담을 수 있는 최적지이자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며 "지천댐을 건설하면 1900만t의 홍수조절 능력과 연간 5500만t의 용수 공급량을 확보하게 돼 집중호우와 극심한 가뭄에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양·부여 주민 62.9%가 지천댐 건설에 찬성한 대전일보·중도일보·충청투데이 공동 여론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댐 건설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과 물 부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이주 부담보다 크게 작용한 것"이라며 "주민 다수의 뜻이 확인된 만큼 논리와 자료를 갖춰 정부 설득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국장은 "지천댐이 지역 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종합지원계획에 주민 수익사업 발굴, 이주대책, 생태 보전, 관광 활성화 등 방안을 담을 예정"이라며 "전 과정에서 주민 참여와 소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천댐 지역 협의체 운영을 통해 주민 우려사항을 경청하고 해소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