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다음 달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을 축소 또는 연기해야 한다고 이재명 대통령에게 건의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종합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도 적시돼있는 8월 한·미 합동 군사훈련이 (남북관계의) 가늠자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한·미 연합훈련 조정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생각이냐’는 취재진 질문에 “그럴 생각이 있다”며 “그리고 내일(29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실무조정회의에서도 이 문제가 주요하게 다뤄질 것”이라고 했다. 외교·안보 부처 차관급 인사가 참석하는 29일 NSC 실무조정회의에서 내달 중순 시행되는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 연합연습 축소·연기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라는 뜻이다. 정 장관은 연합훈련이 축소 실시될지, 연기될지 등의 조정 범위와 관련해선 “내일 논의가 되면 방향을 얘기해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 “분명한 것은 이재명정부의 정책 기조는 윤석열정부의 정책 기조와 다르다. 한·미 합동 군사훈련의 기조도 윤 정부를 이어받는 게 아니다”며 “우리 정부의 의지에 따라 (한·미 연합훈련의) 조정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거명하며 한·미 연합훈련을 실시하는 점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다르지 않다고 비난했다. 김 부부장은 “이재명의 집권 50여일만 조명해보더라도 앞에서는 조선반도 긴장 완화요 조한(조선·한국)관계 개선이요 하는 귀 맛좋은 장설을 늘어놓았지만, 한미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 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며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에 대해 “김 부부장 담화는 과거의 거친 담화에 비해서는 순화된 표현”이라며 “아직 남북 간에 불신의 벽이 높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이어 “한마디로 (김 부부장) 담화의 핵심은 ‘냉정하게 지켜보겠다’는 뜻”이라며 “무너진 남북 간 신뢰를 어떻게 다시 일으켜 세울 것인가가 최우선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