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에선 ‘원전급’ 수주 평가
머스크, 직접 계약 사실 알려
“삼성 실제 수익 몇 배 될 것”
반도체 위기설 떨쳐낼지 주목
삼성전자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로부터 약 23조원(165억4416만달러)에 달하는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에서 단일 고객 기준 역대 최대 금액이고, 국내 기업 중에서도 전례를 찾기 힘든 규모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계약에 대해 “165억달러라는 수치는 최소일 뿐, 실제 수익은 이보다 몇 배 높을 것”이라고 말해 삼성 반도체의 ‘화려한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대형기업과 총 22조7648억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지난 24일부터 2033년 12월31일까지로 8년이다.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홀로 ‘원전급’ 계약을 따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한국수력원자력을 중심으로 한 ‘팀 코리아’가 수주한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2기의 총사업비가 26조원(4070억코루나) 규모다.
삼성전자는 공시에서 경영상 비밀 유지를 이유로 계약 상대를 함구했지만, 이날 머스크 CEO가 이를 공개했다. 머스크는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삼성의 거대한 새 텍사스 공장은 테슬라 차세대 AI6 칩을 만드는 데 전념할 것”이라며 “이 전략적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고 말했다. AI 칩은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FSD) 비전을 실현할 핵심 제어장치다. 현재 AI4는 삼성전자가 생산 중이고, 이제 막 설계를 마친 AI5는 파운드리 절대 강자인 TSMC가 생산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이번 AI6 칩 수주전에서 승기를 잡으면서 TSMC 독주 체제를 막을 발판을 마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 DS부문이 이번 계약으로 ‘반도체 위기설’을 떨쳐낼지도 주목된다. DS부문은 2023년 14조88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지난해 영업이익은 2022년(23조8200억원)의 63% 수준인 15조1000억원에 그쳤다. 올해 1분기와 2분기는 각각 1조원 안팎을 기록했다. DS부문 적자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던 파운드리가 대규모 수주에 성공한 만큼 3분기부턴 삼성 반도체 사업이 본격적으로 반등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