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수면 분석 아닌 수면의 ‘미래’ 설계

개인 수면 건강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알고리즘 기술이 삼성전자 스마트워치 ‘갤럭시 워치8’을 통해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공개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28일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개인 맞춤형 수면 가이드 알고리즘이 삼성전자와의 협업으로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공개된다고 밝혔다.
기존의 스마트워치 수면 기능이 주로 ‘어젯밤 몇 시간을 잤다’는 과거 데이터 분석에 초점을 뒀다면, 김 교수 연구팀의 수면 가이드 알고리즘은 수면의 미래를 설계한다는 차이가 있다.
사용자 수면 패턴 분석으로 최적의 취침 시간대를 제시하고 규칙적인 수면 습관 유도와 일상의 피로 회복을 돕는다. 수학적 모델링과 생체리듬 이론을 기반으로 개발돼 수면 압력과 생체시계를 함께 고려한다.
특히 단순한 수면량 권고가 아닌 ‘오후 11시10~40분에 잠자리에 드는 게 이상적입니다’와 같이 정량적이고 실천 가능한 ‘시간 창(time window)’을 제시한다.
상쾌한 다음날을 보낼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으로 어제의 날씨만을 알려주는 게 아닌 내일의 날씨를 예보하며 우산을 챙기도록 안내하는 것과 같다.

수면의 단순한 기록과 평가가 아닌 ‘더 나은 하루’를 위한 수면 전략 제공이라는 점에서 수면 건강관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지난 6월 미국에서 열린 세계 최대 수면학회 ‘SLEEP 2025’에서 핫 토픽스(Hot Topics) 세션에 선정된 이 알고리즘은 오는 9월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World Sleep 2025’에서도 소개될 예정이다.
김 교수는 “논문과 수식 속에 머물던 수면 알고리즘이 실제 사용자들의 수면 습관을 개선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직접 기여할 수 있다는 사실에 깊이 감사하고 뿌듯함을 느낀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