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7일 폭우로 인해 시설 전체가 물에 잠겼던 당진 전통시장을 찾아 복구 상황을 점검했다.
한 장관은 이 자리에서 "조속한 피해복구를 위해 시설복구, 금융지원 등의 정책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며 "연일 지속되는 최근 폭염 상황에 대해서도 엄밀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중기부가 전했다.

한 장관은 "재난 발생 시 피해복구 속도가 곧 생업 회복의 속도인 만큼 앞으로 남은 복구작업과 재발 방지에 빈틈없이 대응해 나가겠다"며 "시설 복구는 거의 완료됐지만, 진정한 복구는 소비가 살아나야 시장의 진짜 회복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같은 민생 소비 촉진 정책을 통해 실질적인 회복을 뒷받침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중기부는 시장의 회복이 국민의 일상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게 하겠다"며 "민생 회복의 끝까지 정부가 함께하겠다는 책임과 연대의 마음으로 현장의 필요에 맞는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장관은 "연일 지속되는 폭염이 상인들의 건강과 생계를 위협할 수 있는 만큼 폭염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 마련도 시급한 과제"라고 대책 마련 방침을 밝혔다.
모두 182개의 점포가 모여있는 당진 전통시장은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폭우 때문에 지하 기반 시설과 점포가 빗물에 침수됐다.
한 장관과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시장 시설 복구 상황을 살펴보고, 피해를 본 상인들의 건의·요청사항을 청취했다.
박 부지사는 전통시장 침수 당시 큰 피해를 본 노점 상인들이 정부 재난지원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사실을 지적하며, 실질적인 피해를 본 노점 상인도 정부 지원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남도에 따르면 도내 10개 시군의 폭우 피해 금액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 정부 기준(122억5천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지난 22일 정부가 발표한 특별재난지역에 충남에서는 예산·서산 등 2개 기초단체만 포함되면서 주민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박 부지사는 "전통시장은 지역 주민의 일상과 생계가 걸린 삶의 터전인 만큼 피해 복구가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비슷한 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해결책을 마련하겠다"며 "당진 등 피해가 큰 도내 8개 기초단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지정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