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절” “사과해야” 기류에도
與 “李 임명권 존중” 원론적 입장
최동석 인사혁신처장의 과거 발언 논란이 계속되면서 여당 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최 처장 발언을 놓고 수면 밑에서는 부적절하다는 인식이 적잖게 관측되지만 이재명 대통령이 인사권을 행사한 차관급 임명직을 공개 비판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기류다.
백승아 원내대변인은 27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견임을 전제로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적절한 과거 언행들에 대해서는 진정성 있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 처장에 대한 우려는 당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상태”라고도 언급했다.

최 처장은 과거 한 유튜브 방송 등에서 문재인 전 대통령을 향해 “오늘날 우리 국민이 겪는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고 비판하거나 문재인정부의 ‘고위공직 원천 배제 7대 원칙’에 대해 “아주 멍청한 기준”이라고 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빚어졌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등 여권 인사는 물론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에 대해서도 날 선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친문(친문재인)계 핵심인 윤건영 의원이 페이스북에 최 처장의 발언에 대해 “화가 많이 난다. 치욕스럽기까지 하다”고 비판하는 등 당 내에 부정적 반응이 나왔다. 당 일각에서도 “매우 아쉽고 답답한 부분이 있다(박주민 의원)”, “검증이 잘못되고 있다는 게 사실로, 진솔하게 사과해야 한다(박지원 의원)”는 등 반응이 이어졌다.
당 내 전반적 기류는 최 처장이 소명과 사과로 논란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25일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는 개인적 의견을 전제로 “필요한 소명을 하길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야당 등이 요구하는 사퇴에 대해서는 선을 긋고 있다. 백 원내대변인은 기자들에게 보낸 공지문에서 “최 처장과 관련한 발언은 당의 공식 입장이 아니라 개인적인 의견”이라면서 “대통령께서 인사혁신의 의지를 가지고 임명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