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향해 "강대강 끝내고 선대선으로…군사긴장완화 노력, 대화 물꼬 틀 것"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은 25일 "하루빨리 (남북) 연락채널을 복구하고 대화를 복원하는 것이 제가 할 해야 할 일"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임식 전 취재진과 만나 판문점 방문 소감을 묻는 취재진에 "남북 간 대화가 중단된 지 6년, 너무 긴 세월"이라며 이같이 다짐했다.

정 장관은 앞서 판문점을 방문해 남북 연락채널 상황 등을 점검했다.
통일부의 명칭 변경 문제에 관해선 "우선순위는 아니다"라고 했다.
정 장관은 후보자로서 인사청문회 등 계기에 통일부 명칭에서 '통일'을 빼는 변경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여러 차례 밝히고 '한반도부' 등을 대안으로 거론한 바 있다.
정 장관은 윤석열 정부에서 남북회담과 교류·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대폭 축소된 통일부 정원을 "되돌려 놓는 것이 먼저 할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을 만나 감축 전 정원을 회복시켜달라는 요청을 이미 해놓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이탈주민 정책을 행안부 등으로 이관하는 조직 개편안에 관해선 자신의 생각이라면서도 "탈북민에 대한 정부의 서비스도, 탈북민의 입장에서 봐야 한다. 앞으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10월에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북미 정상의 만남 계기로 추진하자는 아이디에 관해 정 장관은 "너무 촉박하다"며 "우선 대화부터 시동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했다.
정 장관은 취임사에서 북한을 향해 "지난 3년은 남북 간에 최악의 시간, 적대와 대결로 서로를 맞받아쳤던 강 대 강의 시간이었다"며 "이제 강 대 강의 시간을 끝내고 선 대 선의 시간으로 바꿔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냉전의 유물이었던 대북 심리전 방송과 확성기 방송을 중단한 것이 남북 신뢰 회복의 첫신호였듯이 앞으로 남과 북은 무너진 신뢰를 하나씩 쌓아갈 때"라며 "서로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해 노력하다 보면 다시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시작할 날도 올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