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군 수송기, 일본 방공식별구역 무단 진입…일본 전투기 출격 ‘일촉즉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7-24 22:46:11 수정 : 2025-07-24 22:46:10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국 공군 수송기가 일본 방공식별구역에 승인 없이 들어가 일본 전투기가 출격한 것이 뒤늦게 확인됐다.

 

24일 군에 따르면, 지난 13일 공군 C-130 수송기가 괌으로 훈련하러 이동하던 중 악천후를 만나 비상착륙을 하려고 일본 오키나와 가네다 미군 기지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영공 및 방공식별구역 진입 관련 의사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일본 항공자위대는 전투기를 띄웠다.

 

수송기에서 미·일측에 상황을 설명했고, 수송기는 가데나 기지에 비상착륙했다. 수송기는 급유를 거쳐 착륙 2시간 뒤 이륙해 괌으로 향했다.

 

국방부는 전날부터 공군을 대상으로 감사를 벌이고 있다.

 

일각에선 공군의 사전 비행준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한반도에서 괌으로 비행하는 최단 경로는 일본 방공식별구역 또는 영공을 지나는 것이다. 

 

공군은 괌까지 최단 거리 비행을 위해 일본 상공을 통과하기로 하고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가데나 기지에 착륙한다는 비행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C-130을 비롯한 프로펠러 수송기는 제트 여객기 다수가 비행하는 고도를 느린 속도로 비행한다. 자칫하면 충돌 위험이 있다.

 

사고 방지를 위해 면밀한 비행계획을 세우고 비행경로상에 위치한 국가의 항공 당국 등에 사전 통보하는 절차가 필요한 이유다.

 

미·일 측에 비행계획이 제대로 통보가 됐는지, 일본 민간 항공 당국에만 통보하고 일본 자위대나 주일미군 등에는 알리지 않았는지 등이 감사 과정에서 쟁점이 될 전망이다.

 

올해 들어 공군에선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KF-16 2대가 경기 포천시 일대에서 오폭 사고를 일으켰고, 지난 4월엔 KA-1 경공격기에서 무장이 투하되는 사고가 났다.

 

지난달에는 미국 알래스카에서 KF-16 2대가 활주로가 아닌 유도로(항공기가 활주로로 이동하는데 쓰는 도로)에서 이륙을 시도하다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