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이하 저성장 늪서 5분기 만에 탈출
건설·설비투자는 모두 1.5% 감소 부진
美관세·추경 효과 3분기 본격 반영 전망
올해 2분기 수출 호조와 소비 회복으로 우리 경제가 전기 대비 0.6% 성장했다. 미국 관세 영향이 3분기부터 본격화할 전망이지만,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로 내수가 성장을 떠받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6%(속보치)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5월 한은 전망치(0.5%)보다 0.1%포인트 올라간 수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0.2% △3분기 0.1% △ 4분기 0.1% △올해 1분기 -0.2%로 4개 분기 연속 0.1% 이하 성장에 머물다가 5개 분기 만에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났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민간부문이 수출과 소비를 중심으로 성장에 기여한 부분이 컸다”며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이 예상보다 양호했고, 민간소비는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되며 플러스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수출은 4.2% 증가하며, 2020년 3분기(14.6%) 이후 최고 오름폭을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승용차 등 재화와 오락문화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며 0.5%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다. 반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는 각각 1.5% 감소했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민간 기여도는 전 분기 -0.3%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크게 올랐다. 정부 기여도는 0.1%포인트로 같았다. 항목별로 순수출 기여도는 0.2%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내수 성장기여도는 -0.5%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증가했다.

미 관세와 1·2차 추경 효과는 3분기에 본격 반영될 전망이다.
이 국장은 “2분기는 수출이 성장을 주도했다면, 하반기는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반면 2차 추경으로 소비심리가 회복돼 내수가 좋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은은 지난 5월 올해 연간 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면서 2차 추경이 올해 성장률을 0.1%포인트 높일 것으로 추산했다. 이 국장은 “산술적으로 연간 성장률 0.9%를 달성하려면 하반기 평균 0.7% 성장해야 하고, 연간 성장률 1.0%를 달성하려면 3, 4분기 평균 성장률이 0.8% 이상 나와야 한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