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대선 패배 후 혁신위원회를 출범하며 드라이브를 걸었던 쇄신의 동력이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국민의힘이 우여곡절 끝에 23일 두 차례나 의원총회를 열고 혁신안에 대한 원내 의견 수렴에 나섰으나, 오히려 대여 투쟁에 집중해야 할 때라는 의견이 우세하게 나오면서 '내부 혁신 논의'는 뒤로 밀리고 있다.

앞서 혁신위는 ▲ 당헌·당규에 계엄·탄핵 등에 대한 '대국민 사죄' 포함 ▲ 최고위원 선출 방식 변경 ▲ 당원소환제 강화 등 3개 혁신안을 제안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의총에서 당헌·당규에 대국민 사죄 명시라는 1호 혁신안 통과를 집중적으로 호소했지만 다수 의원은 이재명 정부 장관 인선 문제 제기가 우선돼야 할 시기라는 의견을 냈고, 이러한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한다.
이날 의총에서 의원들과 윤 위원장의 입장차만 확인되고, 혁신안 논의를 위한 추가 의총 개최도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사실상 혁신위의 쇄신 드라이브에 제동을 걸렸다는 해석이 나온다.
혁신안 논의가 지지부진한 와중에 지도부와 윤 위원장 간 갈등까지 표출되면서 혁신위 활동 폭도 더욱 좁아진 모습이다.
윤 위원장은 지난 17일 지도부에 혁신안을 보고한 뒤 회의 분위기를 '다구리'(몰매의 은어)라는 단어로 표현하며 지도부와 각을 세웠다.
이와 함께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다음 달 22일로 확정되면서 혁신안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점도 혁신위발(發) 쇄신 논의의 동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당권 주자들이 자신만의 혁신·쇄신안을 내놓고 당원·국민의 평가를 받는 상황을 고려해 혁신을 차기 지도부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다.
이미 당권 주자인 안철수·조경태 의원은 윤 위원장의 인적 청산에 공개적으로 공감을 표하며 '쇄신 주자'로서의 존재감 부각에 나선 상황이다.
다만 일부 당권 주자들은 당심 80%가 반영되는 전당대회에서 전통적 보수 지지층의 표심을 의식해 전면적인 쇄신안을 꺼내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당이 전대 모드로 돌입하면서 일각에서는 혁신위가 다음 달 31일까지인 활동 기한을 채우지 못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2023년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 후 출범한 '인요한 혁신위' 역시 지도부·중진·친윤(친윤석열) 인사들의 총선 불출마 혹은 수도권 험지 출마를 요구했다가 지도부와 갈등을 빚은 끝에 2주가량 일찍 문을 닫은 바 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