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00가지 시나리오로 레고처럼 조립하는 차”

입력 : 2025-07-24 06:00:00 수정 : 2025-07-23 19:26:11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아, ‘PV5 테크 데이’ 개최

초기 단계부터 고객들 직접 참여
첫 전동화 PBV 전용 신상품 개발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 등 첫 도입
최대 16종의 바디 유연하게 조합

1000개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반영해 레고처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차. 기아의 첫 전동화 전용 목적기반차(PBV) ‘더 기아 PV5’에 대한 설명이다.

기아는 22일 경기 광명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PV5 개발 과정과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맞춤형 모빌리티 시대 연다” 22일 경기 광명시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참석자들이 행사장에 전시된 PV5를 살펴보고 있다. 기아는 이날 PV5의 상품성과 사용자 중심의 기술혁신 사례를 소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대차·기아 제공

PV5는 패밀리카부터 캠핑카, 업무용 차량까지 다양한 용도에 맞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연하게 확장되는 실용적 특징을 가졌다.

기아는 PV5의 본질을 ‘고객의 다양한 용도에 완벽히 대응하는 맞춤형 모빌리티’로 정의하고, 다품종 차량을 유연하게 개발하기 위해 PBV 전용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를 최초로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기아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고객을 직접 참여시켜 1000여개의 사용자 시나리오를 수립한 뒤 관련 법규와 통계 자료를 면밀히 검토하고, 일반 소비자와 기업 고객은 물론 공공기관과 지자체 담당자까지 참여시켜 입체적인 검증 과정을 거쳤다.

PV5에는 실용성과 유연성을 구현하기 위해 여러 신기술이 적용됐다.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바디라는 새로운 설계 및 생산 개념의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이 PV5에 최초로 도입됐다.

차체, 도어·테일게이트 등 무빙 부품, 외장과 내장의 주요 부품을 모듈화해 다양한 사양을 유연하게 개발·생산하는 PBV 특화 기술이다. 전면부와 1열 구조는 공통 적용되고 이후 구조는 리어 오버행, 테일게이트, 쿼터 글라스 등을 모듈 단위로 구성해 최대 16종의 바디를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차세대 개발 체계인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기반으로 한 PBV 전용 전동화 플랫폼 ‘E-GMP.S’도 적용됐다. PV5는 일반적인 준중형급 크기임에도 2995㎜의 긴 휠베이스, 운전석 전방 배치, 저상화 플로어 설계 등을 통해 대형 차급 수준의 실내·적재 공간을 확보했다.

주석하 연구개발본부 MSV프로젝트3실 상무는 “미래 모빌리티의 시작을 연 PV5는 개발 초기부터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공간 최대화, 확장성, 연결성을 아우르는 혁신을 구현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PV5의 상품성과 완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백소용 기자 swini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