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작업 효율 감소 상반된 의견
계속 고용 방식 놓고도 입장 갈려
세대 갈등 심화 전망에 모두 동의
최근 논의되는 법정 정년 65세 연장이 채용과 업무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취업 청년층과 40·50대 재직자의 입장이 엇갈렸다. 청년층은 정년이 길어지면 신규 채용이 줄고 업무 효율이 감소할 것으로 봤으나 중장년층은 정반대로 평가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구직활동 중인 미취업 청년(20∼34세) 500명과 중장년 재직자(15년 이상 정규직 45~59세) 500명을 대상으로 ‘정년연장 및 근로 가치관에 대한 세대별 인식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대상 미취업 청년의 61.2%는 법정 정년이 65세로 연장되면 신규채용이 감소할 것이라 우려했다.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본 청년은 32.4%, 채용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은 6.4%였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의 절반(50.6%)은 채용에 영향이 없으리라 내다봤다. 신규 채용 감소 의견은 43%, 증가를 점친 이들은 6.4%였다.
정년이 65세가 되면 고령자 비율이 많아져 업무·작업 효율이 감소하리라는 우려에 대해서도 시각이 나뉘었다. 미취업 청년의 59%는 이에 동의했으나 중장년 재직자 62.6%는 동의하지 않았다. 고령자가 많아지면 세대 갈등이 심화되리라는 전망에는 청년(80.8%), 중장년 재직자(63.2%) 모두 동의한다는 답이 우세했다.
현행 정년을 넘긴 고령자의 계속 고용을 위한 바람직한 방식에 대해서는 청년층은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라는 응답이 36.8%로 가장 많았다. 이어 ‘퇴직 후 재고용’(31.8%), ‘정년연장’(31.4%) 순이었다. 반면 중장년 재직자는 ‘정년 연장’(46.8%)을 원하는 이들이 다수였다. ‘기업 자율로 선택’은 29.2%, ‘퇴직 후 재고용’은 24.0%가 택했다.
오래 근무할수록 높은 임금을 받는 연공급 임금체계(호봉제)에 대해서는 미취업 청년(82.2%)과 중장년 재직자(71.8%) 모두 개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