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통법 없어지고 지원금 커졌다… 이참에 번호이동 해? 말아?

입력 : 2025-07-23 15:41:39 수정 : 2025-07-23 15:57:07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이른바 단통법이 폐지되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각종 ‘성지 후기’가 잇따르고 있다. 번호이동 시 지원금을 받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실제로 소비자 10명 중 2명은 단통법 폐지로 번호이동(통신사 이동)을 고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더현대 서울에 마련된 갤럭시 스튜디오에서 한 시민이 진열된 갤럭시Z폴드7을 살펴보고 있다. 뉴스1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 11∼15일 전국 14~64세 휴대전화 사용자 31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32%가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경쟁이 활발해질 경우’ 통신사 전환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는 통신사 이동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17%였으며,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통신사별 수치로는 알뜰폰 가입자가 36%로 가장 높았고, LG유플러스 33%, SK텔레콤 32%, KT 29% 순이었다. 

 

지난해 말 응답률과 비교해보면 SK텔레콤이 10%에서 32%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올해 4월 유심 해킹 사태 이후에는 34%까지 높아졌다. 

 

번호이동 의지는 새 휴대전화 구입 시기가 가까울수록 높아졌다. 올해 하반기 구입예정자는 47%가 통신사를 바꿀 생각이 있다고 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 구입예정자가 단말기 구입 방식으로 ‘통신사 약정폰’(47%)을 ‘자급제’(38%)보다 많이 꼽은 것도 지원금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내년 하반기 구매 예정자의 번호이동 응답률은 41%였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소비자들은 단통법 폐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단통법 폐지 타당성에 관한 질문에 ‘찬성’이 42%였고, ‘반대'는 6%에 그쳤다. 나머지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소비자들은 단통법 폐지 이후 △단말기 가격 인하(47%) △보조금 경쟁 확대(42%)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비싼 요금제 가입 유도(38%) △소비자 간 불공정 심화(31%)는 우려 요소로 꼽았다.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폐지된 22일 서울 시내 한 휴대전화 매장 대리점에 관련 홍보물이 붙어 있다. 뉴스1

 

다만, 전문가들은 정지에서 지원금을 받아 휴대전화가 저렴해 보인다고 하더라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깃값을 지원해주는 대신 고가 요금제 가입 혹은 약정 기간을 길게 해야 한다는 등 조건이 있다. 자칫 제값 주고 사는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낼 수 있다. 

 

또 기기를 공짜로 주는 것처럼 설명해놓고 매달 내는 비용에 기기 할부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의심된다면 출시가격에서 모든 지원금을 다 뺀 가격인 ‘할부원금’을 확인하면 된다. 

 

선택약정 할인이나 신용카드 제휴 할인 등은 유통점이 아니어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마치 유통점이 혜택을 주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11년 만의 ‘큰 장’이 열렸다”며 “소비자 다수가 어떤 방식으로든 ‘통신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만큼 통신사의 마케팅 경쟁도 그만큼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