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 이른바 단통법이 폐지되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각종 ‘성지 후기’가 잇따르고 있다. 번호이동 시 지원금을 받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실제로 소비자 10명 중 2명은 단통법 폐지로 번호이동(통신사 이동)을 고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인사이트가 지난 11∼15일 전국 14~64세 휴대전화 사용자 318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32%가 ‘단통법 폐지로 보조금 경쟁이 활발해질 경우’ 통신사 전환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는 통신사 이동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17%였으며,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통신사별 수치로는 알뜰폰 가입자가 36%로 가장 높았고, LG유플러스 33%, SK텔레콤 32%, KT 29% 순이었다.
지난해 말 응답률과 비교해보면 SK텔레콤이 10%에서 32%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올해 4월 유심 해킹 사태 이후에는 34%까지 높아졌다.
번호이동 의지는 새 휴대전화 구입 시기가 가까울수록 높아졌다. 올해 하반기 구입예정자는 47%가 통신사를 바꿀 생각이 있다고 했다. 특히 올해 하반기 구입예정자가 단말기 구입 방식으로 ‘통신사 약정폰’(47%)을 ‘자급제’(38%)보다 많이 꼽은 것도 지원금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내년 하반기 구매 예정자의 번호이동 응답률은 41%였다.
이번 조사에 응답한 소비자들은 단통법 폐지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단통법 폐지 타당성에 관한 질문에 ‘찬성’이 42%였고, ‘반대'는 6%에 그쳤다. 나머지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소비자들은 단통법 폐지 이후 △단말기 가격 인하(47%) △보조금 경쟁 확대(42%)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비싼 요금제 가입 유도(38%) △소비자 간 불공정 심화(31%)는 우려 요소로 꼽았다.

다만, 전문가들은 정지에서 지원금을 받아 휴대전화가 저렴해 보인다고 하더라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강조한다. 기깃값을 지원해주는 대신 고가 요금제 가입 혹은 약정 기간을 길게 해야 한다는 등 조건이 있다. 자칫 제값 주고 사는 것보다 더 많은 비용을 낼 수 있다.
또 기기를 공짜로 주는 것처럼 설명해놓고 매달 내는 비용에 기기 할부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의심된다면 출시가격에서 모든 지원금을 다 뺀 가격인 ‘할부원금’을 확인하면 된다.
선택약정 할인이나 신용카드 제휴 할인 등은 유통점이 아니어도 제공하는 것으로, 이를 마치 유통점이 혜택을 주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컨슈머인사이트 측은 “11년 만의 ‘큰 장’이 열렸다”며 “소비자 다수가 어떤 방식으로든 ‘통신비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만큼 통신사의 마케팅 경쟁도 그만큼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