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기 화재 원인 1위는 ‘합선’
“멀티탭·에어컨 실외기 점검을”
전국적인 폭염과 열대야로 에어컨 등 전력 수요가 폭증하는 가운데, 최근 5년간 서울에서 ‘전기적 요인’으로 인한 화재가 7∼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일 부산의 한 아파트에서 어린 자매 2명이 숨진 화재 원인도 에어컨이 연결됐던 낡은 멀티탭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020~2024년 시에서 발생한 전기적 요인 화재 7036건의 26.2%인 1843건이 7∼8월에 일어났다고 10일 밝혔다.
월별로 보면 7월 924건, 8월 919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1월 673건, 12월 667건, 9월 554건, 6월 538건, 5월 51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중 전기적 요인에 따른 냉방 기기 화재의 주된 원인은 ‘합선’이었다. 2020~2024년 냉방 기기 화재 중 전기적 요인 화재는 191건으로, 접촉 불량에 의한 단락, 즉 합선이 72건(37.7%)에 달했다. 이어 미확인 단락(41건·21.5%), 전선 등의 절연 성능 저하(40건·20.9%), 과열·과부하(7건·3.7%) 순이다.
같은 기간 화재 현장이 주거 시설이었던 1만586건을 살펴보면 월별로 7월이 1002건(9.5%)으로 가장 많다. 이어 12월 978건, 8월은 927건이다.
2020~2024년 시에서 발생한 전체 화재 2만7760건으로 범위를 넓히면 7∼8월 화재는 4479건, 16.2%를 기록했다. 이에 대해 시 소방재난본부는 “겨울철에 비해선 적지만 전기적 요인에서 비롯된 화재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냉방 기기 등 철저한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혁민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냉방 기기 멀티탭 점검,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 자제, 에어컨 실외기 주변 가연물 제거 등 여름철 냉방 기기와 전기 사용 안전 수칙을 지켜 주길 바란다”고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소방청도 4일부터 이날까지 매일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에어컨에 맞는 콘센트 사용 등 폭염에 따른 화재 예방을 안내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