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애벌레가 어깨 위로 ‘툭’…러브버그 가고 도심 점령한 ‘이 해충’ 뭐길래

입력 : 2025-07-10 17:09:33 수정 : 2025-07-10 17:09:32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흰불나방' 주의보, 가로수, 조경수 등 피해
산림과학원,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 '주의' 단계 상향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0일 미국흰불나방 발생 예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

 

미국흰불나방 피해를 입은 나뭇잎.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이날 산림청에 따르면, 미국흰불나방은 벚나무와 포플러 등 다양한 활엽수의 잎을 갉아 먹는 식엽성 외래 해충이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로, 우리나라는 1958년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성충은 연간 2회 발생하는데, 미국흰불나방의 유충은 도심 가로수와 조경수 잎을 갉아 먹으며 대량 발생 시 주민 생활 불편과 도시 경관 훼손을 유발한다.

 

국립산림과학원이 전국 32개 고정 조사구의 활엽수 1600그루에서 수집한 미국흰불나방 1세대(알에서 태어나 유충, 번데기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 후 다시 알을 낳기까지의 한 생애 주기 전체) 유충 피해율을 모니터링한 결과, 15.8%로 나타났다. 2세대 유충 피해율은 26.9%로 예측됐다.

 

올해 2세대 피해율 예측치는 2000년대 8.9%, 2010년대 6.7%보다 높아 최근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국흰불나방이 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국립산림과학원은 1981년부터 고정 조사구를 운영하며 매년 피해도를 조사해 오고 있다.

 

원인은 기후변화에 따른 세대 수 증가로 추정된다. 특히 봄과 가을철 기온 상승으로 활동 기간이 길어지면서 3세대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병해충연구과 김민중 연구사는 “여름(8월)과 가을철(10월) 유충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2세대 유충 발생 초기인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집중 예찰과 방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