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해병 사건 및 수사외압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10일 국방부 대변인실과 국가안보실 등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는 특검팀 출범 이후 첫 압수수색이다.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은 이날 오전 국방부 대변인실과 국가안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강제수사는 특검팀이 앞서 밝힌 ‘VIP 격노설’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 차원으로 보인다.
앞서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지난 4일 브리핑에서 “다음 주부터 이른바 VIP 격노설과 관련한 조사가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31일 대통령실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포함한 간부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한다는 보고를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느냐’며 격노했다는 의혹이다.
윤 전 대통령의 이 같은 격노 이후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은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통해 박정훈 당시 해병대수사단장(대령)에게 수사기록 민간 이첩 보류를 지시하고 언론 브리핑도 취소했다.
당시 수석비서관 회의에는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등 국방·안보 관계자가 다수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특검보는 “해당 회의 관련해서 정황을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이는 관계자 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라며 직접 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관계자도 조사 대상이라고 했다.
다만 김 전 차장 등은 VIP 격노설이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김 전 차장은 지난해 7월 열린 국회 현안질의에 출석해 당시 회의에 대해 “여름휴가 직전 당시로 기억하고, 저희 앞에서 (대통령이) 화낸 적이 없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