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정부의 첫 장관 후보자들을 둘러싼 의혹이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지고 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 논문 표절, 논문 중복 게재 의혹에 이어 두 딸을 미국에서 조기 유학시켰다는 논란까지 불거져 사퇴 여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가뜩이나 학자나 행정가로서 초·중등 교육에 대한 식견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는 상황에서 자녀를 국내 공교육에 맡기지 않았다니 교육수장을 맡을 자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오죽하면 이재명 대통령 팬 카페에도 “지명 철회”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글이 올라오겠는가.
장관 후보자들을 둘러싼 논란은 이뿐 아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배우자가 보유 중인 농지를 실제로 경작하지 않아 농지법 위반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농지를 쪼갠 뒤 단독주택을 지어 ‘허위 농지취득’ 의혹도 일고 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남편이 바이오 업체 감사로 스톡옵션 1만주를 받았지만, 강 후보자의 국회의원 재산 신고에는 빠져 있었다. 남편 회사 대표가 강 후보자 등이 주최한 국회 토론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배우자가 도로 부지를 지분 쪼개기 방식으로 매입해 10억원의 차익을 남겨 부동산 투기 논란이 제기됐다. 모두 국무위원 후보자로서 심각한 결격 사유가 될 수 있는 사안이다.
국민 의구심은 갈수록 커지는데 정작 당사자들은 입이라도 맞춘 듯 “인사청문회에서 소명하겠다”며 명확한 해명 없이 뭉개고 있다. 야당이 요구하는 금전 자료 제출에 응하지 않고 버티다 임명된 김민석 국무총리의 전례를 따라 하려는 것 아닌가. “무책임하고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국민이 납득할 만한 해명을 당장 내놓든지 그럴 자신이 없다면 스스로 거취를 정하는 것이 도리다.
장관 후보자는 국회 임명동의가 필요 없어 인사청문회만 끝나면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다. 민주당은 “한 명도 낙마 없이 빨리 내각을 구성하는 게 목표”라고 했다. ‘청문회 하루만 버티면 된다’며 후보자들은 뭉개고, 여당은 감싸기로 일관하는 것은 국민의 알 권리를 짓밟는 행태다. 국민이 그렇게 만만한가. 오만한 정권은 국민의 심판을 받게 마련이다. 이재명정부 첫 내각 검증이 이토록 무기력해진 데는 국민의힘의 책임도 크다. 다음 주부터 시작되는 청문회에서 송곳 검증으로 부적격자들을 걸러내야 한다. 청문회가 요식행위에 그쳐선 안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