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칠곡농촌협약지원센터에 다른 지자체의 문의 전화가 이어지고 있다. 농촌 프로그램의 주민 참여 방식과 프로그램 기획부터 절차, 실제 운영 사례 등을 벤치마킹하려는 움직임이다. 그 중심에는 ‘6789팀’이 있다. 1960년대부터 1990년대생까지 네명이 한 팀을 이루어 지역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8일 칠곡군에 따르면 칠곡농촌협약지원센터에서 활동 중인 정남극 센터장(1962년생)과 김은정 팀장(1977년생), 한송이 팀장(1982년생), 윤진영 팀장(1993년생)은 각자의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팀을 꾸렸다. 이름 그대로 6789팀이다. 세대 차이는 있지만 업무에서는 높은 호흡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은 8개 읍·면과 복지회관, 마을회관, 경로당과 같은 공간을 활용해 농촌 프로그램 공연과 강의, 공동체 프로그램 등을 맞춤형으로 설계한다. 주민 피드백을 듣고 내년 기획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주말 가족 체험과 직장인 대상 야간 강좌, 어르신 인문학 교실 등 대상별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운영한다.
센터는 주민을 수동적인 참여자가 아닌 주체로 세운다. 퍼실리테이터 양성과정을 운영해 자격증을 취득하게 하고 이후 마을 기록화나 현장 포럼 등에 보조 강사로 투입하고 있다. 이 과정을 거친 인력은 최근 경북과 경남의 기록화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팀워크의 비결에 대해 네 사람은 ‘식사 시간’을 꼽는다. 함께 식사하며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자연스럽게 협업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어려운 일이 생기면 굳이 말하지 않아도 서로 돕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팀장은 대기업에서 실무를 쌓은 기획·회계 전문가다. 한 팀장은 덴마크 시민학교에서 정치, 시민사회 조직화, 도예 등을 공부한 독특한 이력을 지녔다. 여기에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실무 경험을 가진 윤 팀장이 더해져 기획부터 실행까지 균형 잡힌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 센터장은 토목직 공무원 출신이다. 칠곡군 도시계획과장을 역임하며 도시재생센터와 중간지원조직 체계를 마련했다. 현재는 행정과 센터 간 가교 역할을 맡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