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꼬리에 폐어구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구하기… 제주도, 구조 전담팀 가동

입력 : 2025-07-08 11:55:05 수정 : 2025-07-08 11:55:05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제주 해상에서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행운이’를 구하기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제주도는 8일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구조와 보호를 위한 전문가 전담팀(TF) 회의를 열고 최근 제주시 구좌읍 해상에서 폐어구에 걸린 채 발견된 ‘행운이’의 상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구조와 치료, 보호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6월 9일 꼬리에 폐어구가 얽힌 채 목격된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다큐제주, 제주대학교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

‘행운이’는 약 2m 크기의 중형 돌고래로, 태어난 지 6~7년 정도 된 비성체로 추정된다.

 

제주 동부와 서부 해역을 넘나들며 광범위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 이후 총 네 차례 폐그물에 걸린 모습이 관찰됐다. 폐어구에 의한 위협이 반복되고 있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제주도는 정무부지사를 단장으로 행정, 해양생태, 수의, 어구·어법 분야 전문가 등 총 11명으로 전담팀을 구성했다. 제주도청,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원, 제주대학교 등 관련 기관들이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가 8일 도청 백록홀에서 남방큰돌고래 ‘행운이’ 구조와 보호를 위한 전문가 전담팀(TF) 회의를 열고 있다. 제주도 제공

회의에서는 기존 ‘종달이’ 구조 사례를 바탕으로 선박 접근, 특수 장비 활용 포획, 치료 후 방류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논의됐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해양경찰청의 협조 체계와 민간 구조 전문가 참여 방안도 함께 검토한다.

 

제주도는 관계기관과 협의해 구조부터 치료, 방류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해양폐기물 수거 계획도 강화할 방침이다.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남방큰돌고래는 해양보호생물로 제주 해양생태계 보전의 핵심 종”이라며 “제주도는 ‘행운이’가 다시 건강하게 제주 바다를 누빌 수 있도록 모든 행정적·기술적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남방큰돌고래 ‘종달이’는 해양수산부 주관 3차례의 구조기술위원회 회의와 약 10개월간의 구조 활동 끝에 2024년 8월 17일 낚싯줄 제거에 성공했다.


제주=임성준 기자 jun258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